침구(針灸)

침 뜸을 놓는 데 좋은 날[鍼灸吉日]

한닥터 2011.11.17 조회 수 512 추천 수 0
◎ 鍼灸吉日 ○ 每月甲戌甲申甲寅 ○ 乙巳乙卯乙丑乙亥 ○ 丙子丙申丙午丙戌 ○ 丁卯丁亥丁丑 ○ 戊戌戊申 ○ 己亥 ○ 庚午庚子庚戌庚申 ○ 辛卯辛丑辛亥 ○ 壬午壬子壬戌壬申 ○ 癸丑癸未巳上皆吉日[綱目] ○ 雖云吉日太乙所在及戊巳日不可鍼灸[鍼灸書] ○ 春甲乙夏丙丁四季戊己秋庚辛冬壬癸皆吉 ○ 男喜破日女喜除日男女俱宜開日[入門]

☞ 침 뜸을 놓는 데 좋은 날[鍼灸吉日] ○ 매달 갑술일(甲戌日), 갑신일(甲申日), 갑인일(甲寅日) ○ 을사일(乙巳日), 을묘일(乙卯日), 을축일(乙丑日), 을해일(乙亥日), ○ 병자일(丙子日), 병신일(丙申日), 병오일(丙午日), 병술일(丙戌日), ○ 정묘일(丁卯日), 정해일(丁亥日), 정축일(丁丑日), ○ 무술일(戊戌日), 무신일(戊申日), ○ 기해일(己亥日), ○ 경오일(庚午日), 경자일(庚子日), 경술일(庚戌日), 경신일(庚申日), ○ 신묘일(辛卯日), 신축일(辛丑日), 신해일(辛亥日), ○ 임오일(壬午日), 임자일(壬子日), 임술일(壬戌日), 임신일(壬申日), ○ 계축일(癸丑日), 계미일(癸未日) 등 이 날들은 다 좋은 날이다[강목]. ○ 비록 좋은 날이라고 하여도 태을신이 있거나 무기일(戊己日)에는 침이나 뜸을 놓아서는 안된다[침구서]. ○ 봄의 갑일, 을일, 여름의 병일, 정일, 4계(3월, 6월, 9월, 섣달)의 무일, 기일, 가을의 경일, 신일, 겨울의 임일, 계일 등은 다 좋은 날이다. ○ 남자는 파일(破日)이 좋고 여자는 제일(除日)이 좋다. 남자와 여자가 다 개일(開日)이 좋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임맥의 순행과 침혈[任脈流注及孔穴] 393
[침구(針灸)] 15락에 생긴 소생병[十五絡所生病] 445
[침구(針灸)] 족소음소경의 순행[足少陰腎經流注] 508
[침구(針灸)] 수궐음심포경의 순행[手厥陰心包經流注] 447
[침구(針灸)] 수소양삼초경의 순행[手少陽三焦經流注] 459
[침구(針灸)] 족소양담경의 순행[足少陽膽經流注] 419
[침구(針灸)] 족궐음간경의 순행[足厥陰肝經流注] 558
[침구(針灸)] 독맥의 순행과 침혈[督脈流注及孔穴] 332
[침구(針灸)] 경맥의 병에는 시동병과 소생병이 있다는 데 대하여[脈病有是動有所生病] 699
[침구(針灸)] 맥에는 경맥, 낙맥, 손락맥이 있다[脈有經脈絡脈孫絡脈] 732
[침구(針灸)] 12경맥의 혈과 기가 많고 적은 것[十二經血氣多少] 278
[침구(針灸)] 12경맥의 순행과 분포되어 있는 부분[十二經行度部分] 327
[침구(針灸)] 기가 돌아가는 길[氣行有街] 296
[침구(針灸)] 거자법, 무자법, 산자법으로 침놓는 방법[鍼法有巨刺繆刺散刺] 905
[침구(針灸)] 기경8맥(奇經八脈) 1233
[침구(針灸)] 자오8법(子午八法) 293
[침구(針灸)] 자오류주(子午流注) 373
[침구(針灸)] 오장육부소속오수오행五臟六腑所屬五?五行 368
[침구(針灸)] 5수혈과 음양의 배합[五?陰陽配合] 327
[침구(針灸)] 5수혈이 주관하는 병[五?主病] 356
[침구(針灸)] 4계절에 따라 5수혈에 침놓는 방법[五?鍼隨四時] 307
[침구(針灸)] 정합의 의의[井合有義] 283
[침구(針灸)] 12개의 원혈을 써서 5장6부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五臟六腑有疾當取十二原] 707
[침구(針灸)] 장부의 중요한 침혈[臟腑要穴] 396
[침구(針灸)] 6개의 합혈이 나드는 곳[六合所出所入] 466
[침구(針灸)] 족3초의 별맥[足三焦別脈] 378
[침구(針灸)] 8회혈(八會穴) 1028
[침구(針灸)] 6개 경맥의 표와 본[六經標本] 575
[침구(針灸)] 몸에 있는 4곳의 모여드는 것과 그에 해당한 수혈[人身四海?穴] 426
[침구(針灸)] 대접경(大接經) 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