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백약전을 만드는 방법[百藥煎法]

한닥터 2008.07.14 조회 수 1290 추천 수 0

백약전을 만드는 방법[百藥煎法]

오배자 1,500g, 오매살, 백반 각각 160g, 술을 만드는 흰누룩 160g.

위의 약들에서 오매를 수홍료(水紅蓼) 460g을 물에 달여서 찌꺼기를 버린데 넣고 달이되 너무 오랫동안 달이지 말고 알맞춤하게 달인다. 여기에 거친 오배자가루와 백반, 누룩을 넣고 고루 섞어서 술을 만드는 누룩처럼 만들어 사기그릇에 담아 바람이 통하지 않게 두었다가 흰곰팽이가 끼면 꺼내어 햇볕에 말려서 쓴다. 수염에 물을 들이려면 녹반 160g을 넣는다[입문].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263 [탕액편] 서각(犀角) 447
262 [탕액편] 냉천(冷泉, 맛이 떫은 찬 물을 말한다. 448
261 [탕액편] 백마경(白馬莖) 448
260 [탕액편]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450
259 [탕액편]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 450
258 [탕액편] 어회(魚膾, 물고기회) 450
257 [탕액편] 대매(?瑁, 대모) 451
256 [탕액편] 석룡자(石龍子, 도마뱀) 451
255 [탕액편] 오사(烏蛇) 453
254 [탕액편] 온천물[溫泉] 454
253 [탕액편] 정저사(井底沙, 우물 밑의 모래) 454
252 [탕액편] 난발(亂髮) 454
251 [탕액편] 발피(髮?, 달비) 454
250 [탕액편] 궤육(?肉, 효근노루) 455
249 [탕액편]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458
248 [탕액편]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459
247 [탕액편] 탁목조(啄木鳥, 딱따구리) 460
246 [탕액편] 달간(獺肝) 461
245 [탕액편] 구인(?蚓, 지렁이) 461
244 [탕액편] 행핵인(杏核仁, 살구씨)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