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한닥터 2008.07.14 조회 수 1374 추천 수 0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끼무릇을 가루내어 생강즙과 백반 끓인 물을 같은 양으로 하여 섞은데 넣어서 누룩을 만든다. 이것을 닥나무잎에 싸서 바람에 말려 약에 넣는다.

○ 풍담(風痰)에는 주염열매(조각)를 달여 찌꺼기는 버리고 묽은 고약처럼 만든데 풀어서 쓴다.

○ 화담(火痰)과 노담(老痰)에는 참대기름(죽력)과 생강즙을 섞은데 풀어서 쓴다.

○ 습담(濕痰)과 한담(寒痰)에는 생강을 진하게 달인 물에 백반(구운 것)을 그 물량의 3분의 1이 되게 타서(가령 끼무릇(반하)이 120g이면 구운 백반은 40g이 되게 한다.) 위의 방법과 같이 누룩을 만든다.

○ 또는 하천고(霞天膏, 처방은 구토문에 있다)에 흰겨자를 3분의 2정도 넣고 여기에 생강즙, 백반 끓인 물, 참대기름을 넣어 섞어서 만든 누룩은 담적(痰積)과 오랜 냉병을 치료하는데 대소변으로 풀려나가게 한다[단심].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283 [탕액편] 인조갑(人爪甲) 432
282 [탕액편] 추석(秋石) 434
281 [탕액편] 진육(震肉, 벼락맞아 죽은 짐승의 고기) 434
280 [탕액편] 벌레부[蟲部] 434
279 [탕액편] 약으로 쓰는 흙[土部] 436
278 [탕액편] 누서(?鼠, 날다람쥐) 436
277 [탕액편] 표육(豹肉 표범의고기) 437
276 [탕액편] 앵도(櫻桃, 앵두) 437
275 [탕액편] 복룡간(伏龍肝, 오랜 가마밑 아궁이바닥의 누런 흙이다.) 438
274 [탕액편] 서벽토(西壁土, 서쪽벽의 흙) 439
273 [탕액편] 저계(樗鷄) 439
272 [탕액편] 복사담(?蛇膽, 살모사쓸개) 439
271 [탕액편] 인유즙(人乳汁) 440
270 [탕액편] 소맥묘(小麥苗, 갓 돋은 밀싹) 442
269 [탕액편] 황서(黃鼠, 족제비) 443
268 [탕액편] 용골(龍骨) 444
267 [탕액편] 무화과(無花果) 444
266 [탕액편] 역류수(逆流水) 445
265 [탕액편] 임금(林檎, 능금) 446
264 [탕액편] 백합(白?, 흰 비둘기)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