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호마(胡麻, 검은참깨 또는 검정참깨)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964 추천 수 0
◈ 胡麻 ○ 거믄??性平味甘無毒益氣力長肌肉塡髓腦堅筋骨潤五藏[本草] ○ 補髓塡精延年駐色[醫鑑] ○ 患人虛而吸吸加胡麻用之[序例] ○ 一名巨勝一名方莖葉名靑?本生胡中形體類麻故曰胡麻又八穀之中最爲大勝故名巨勝[本草] ○ 服食則當九蒸九暴熬搗餌之其性與茯?相宜久服能?穀不飢[本草] ○ 胡麻巨勝諸家之說不一止是今黑脂麻更無他義[衍義] ○ 胡麻卽胡地黑芝麻耳湯淘去浮者酒蒸半日?乾?去#皮微炒用之[入門]

☞ 호마(胡麻, 검은참깨 또는 검정참깨)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기운을 돕고 살찌게 하며 골수와 뇌수를 충실하게 하고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며 5장을 눅여 준다[본초]. ○ 골수를 보하고 정(精)을 보충해주며 오래 살게 하고 얼굴빛이 젊어지게 한다[의감]. ○ 환자가 허해져 말할 기운조차 없어할 때에는 검정참깨(胡麻)를 쓴다[서례]. ○ 일명 거승(巨勝) 또는 방경(方莖)이라고도 한다. 잎은 청양(靑?)이라고 한다. 이것이 본래는 호(胡)라는 지방에서 났고 생김새가 삼과 비슷하기 때문에 호마라고 하였다. 또한 이것이 8가지 곡식 가운데서 제일 좋은 것이라고 하여 거승이라고 하였다[본초]. ○ 보약으로 쓸 때에는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아홉번해서 볶아 짓찧어 쓴다. 이것의 성질은 솔풍령(복령)과 비슷한데 오랫동안 먹으면 다른 곡식을 먹지 않아도 배가 고프지 않다[본초]. ○ 호마 또는 거승이라고 한 데 대한 여러 사람의 말이 같지 않으나 그것은 다 현재의 검정참깨를 말하는 것이지 별다른 것은 아니다[연의]. ○ 호마란 호라는 지방의 검정참깨라는 것이다. 끓인 물에 씻어 일어서 뜨는 것을 버리고 술에 한나절 찐 다음 햇볕에 말린다. 다음 절구에 찧어서 거치른 껍질은 버리고 약간 볶아[微炒] 쓴다[입문].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호마(胡麻, 검은참깨 또는 검정참깨) by 한닥터
  2. 동의보감 단방정리 호마(胡麻, 검은 참깨) 호마유(胡麻油, 참깨기름) by HaanDoctor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363 [탕액편]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1192
362 [탕액편]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1164
361 [탕액편] 밀술을 만드는 방법[作酒本] 1258
360 [탕액편] 약누룩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1050
359 [탕액편] 백약전을 만드는 방법[百藥煎法] 1290
358 [탕액편] 약전국을 만드는 방법[造 法] 1077
357 [탕액편] 엿을 달이는 방법[造飴糖法] 1108
356 [탕액편]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1374
355 [탕액편] 찐지황을 만드는 방법[作熟地黃法] 1139
354 [탕액편] 두꺼비 진을 내는 방법[取蟾 法] 1291
353 [탕액편] 참대기름을 내는 방법[取竹瀝法] 1123
352 [탕액편] 우담남성을 만드는 방법[製牛膽南星法] 1174
351 [탕액편] 약으로 쓰는 물㈜[水部] 427
350 [탕액편]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402
349 [탕액편]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514
348 [탕액편]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497
347 [탕액편]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636
346 [탕액편]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468
345 [탕액편]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607
344 [탕액편]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