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836 추천 수 0
◈ 大豆黃卷 ○ 콩기룸性平味甘無毒主久風濕痺筋攣膝痛除五藏胃中結聚[本草] ○ 黃卷是以生豆爲蘗待其芽出便暴乾取用入藥微炒[本草] ○ 卷蘗長五分者破婦人惡血産婦藥中用之[本草]

☞ 대두황권(大豆黃卷, 콩길금)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오랜 풍습비(風濕痺)로 힘줄이 당기고 무릎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5장이나 위 속에 몰린 적취[五藏胃中結聚]를 없앤다[본초]. ○ 대두황권은 생콩으로 기른 길금(蘖待)을 말하는데 길금싹을 햇볕에 말린 다음 약간 볶아서[微炒] 약에 넣는다[본초]. ○ 길이가 5푼 정도 되는 콩길금은 부인의 어혈을 헤치는데 산모의 약에 넣어 쓴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283 [탕액편] 인조갑(人爪甲) 432
282 [탕액편] 추석(秋石) 434
281 [탕액편] 진육(震肉, 벼락맞아 죽은 짐승의 고기) 434
280 [탕액편] 벌레부[蟲部] 434
279 [탕액편] 약으로 쓰는 흙[土部] 436
278 [탕액편] 누서(?鼠, 날다람쥐) 436
277 [탕액편] 표육(豹肉 표범의고기) 437
276 [탕액편] 앵도(櫻桃, 앵두) 437
275 [탕액편] 복룡간(伏龍肝, 오랜 가마밑 아궁이바닥의 누런 흙이다.) 438
274 [탕액편] 서벽토(西壁土, 서쪽벽의 흙) 439
273 [탕액편] 저계(樗鷄) 439
272 [탕액편] 복사담(?蛇膽, 살모사쓸개) 439
271 [탕액편] 인유즙(人乳汁) 440
270 [탕액편] 소맥묘(小麥苗, 갓 돋은 밀싹) 442
269 [탕액편] 황서(黃鼠, 족제비) 443
268 [탕액편] 용골(龍骨) 444
267 [탕액편] 무화과(無花果) 444
266 [탕액편] 역류수(逆流水) 445
265 [탕액편] 임금(林檎, 능금) 446
264 [탕액편] 백합(白?, 흰 비둘기)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