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얼미(蘖米, 조길금)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520 추천 수 0
◈ ?米 ○ 조기룸性溫味苦無毒主寒中下氣開胃消食除熱[本草] ○ 此卽粟?也取半生者作之今穀神散中用之性又溫於大麥?[本草] ○ ?者生不以理之名也皆當以可生之物爲之粟?麥?皆其類也[本草] ○ ?米卽穀芽也[入門]

☞ 얼미(蘖米, 조길금)

○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독이 없다. 속이 찬 것[寒中]을 치료하고 기를 내리며 입맛이 나게 하고 음식이 소화되게 한다. 열도 없앤다[본초]. ○ 이것이 바로 속얼(粟蘖)인데 절반 정도 자란 것을 쓴다. 요즘에는 곡신산(穀神散)에 넣어 쓴다. 성질은 보리길금(대맥얼)보다 더 따뜻하다[溫][본초]. ○ 길금(蘖)이란 땅 속에 묻지 않고 싹을 낸 것인데 곡식은 다 싹을 낼 수 있다. 조길금이나 보리길금도 다 이렇게 만든 것이다[본초]. ○ 길금이란 바로 곡식의 싹을 말한다[입문].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223 [탕액편] 물고기부[魚部] ○ 모두 53가지이다. 528
222 [탕액편] 백화사(白花蛇) 526
221 [탕액편] 해금사(海金沙, 실고사리알 씨) 525
220 [탕액편] 옥정수(玉井水, 옥이 있는 곳에서 나오는 샘물) 524
219 [탕액편] 고이두건(故?頭巾, 묵은 이두건) 522
218 [탕액편] 모구음경(牡狗陰莖, 수캐의 음경) 522
217 [탕액편] 고마혜저(故麻鞋底, 헌 삼신짝의 바닥) 521
[탕액편] 얼미(蘖米, 조길금) 520
215 [탕액편] 귤피(橘皮, 귤껍질) 520
214 [탕액편] 치어(?魚, 숭어) 519
213 [탕액편]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514
212 [탕액편] 약으로 쓰는 새[禽部] 514
211 [탕액편] 후어(?魚) 514
210 [탕액편] 모옥누수(茅屋漏水, 새미엉에서 흘러 내린 물) 511
209 [탕액편] 해(蟹, 게) 511
208 [탕액편] 백강잠(白?蠶) 511
207 [탕액편] 홍시(紅?, 연감) 510
206 [탕액편] 구어(?魚, 대구) 509
205 [탕액편] 백어(白魚, 뱅어) 509
204 [탕액편] 급류수(急流水)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