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황량미(黃粱米)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487 추천 수 0
◈ 黃粱米 ○ 누른냥미性平味甘無毒益氣和中止泄[本草] ○ 靑白粱食之不及黃粱靑白二種性皆微凉獨黃粱性甘平豈非得土之中和氣多耶[本草] ○ 粱類穗皆大而毛長米比粟更大黃粱食之香美愈於諸粱號爲竹根黃[入門]

☞ 황량미(黃粱米)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기를 보하고 중초를 조화시켜서 설사를 멎게 한다[본초]. ○ 생동쌀(靑粱)과 백량미(白粱)가 먹는 데는 황량미만 못하다. 생동쌀이나 백량미는 다 성질이 약간 서늘하고[微凉] 황량미는 성질이 달고[甘] 평(平)한데 그것은 땅에서 고른 기운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본초]. ○ 양미 종류[梁類]는 다 이삭이 크고 털이 길며 쌀알은 좁쌀알보다 크다. 황량미는 다른 양미 보다 향기롭고 맛이 좋은데 죽근황(竹根黃)이라고도 한다[입문].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123 [탕액편] 패고피(敗鼓皮, 오래된 북가죽) 385
122 [탕액편] 초서(貂鼠) 360
121 [탕액편] 황서(黃鼠, 족제비) 443
120 [탕액편] 필두회(筆頭灰, 오래된 붓끝을 태운 재) 343
119 [탕액편] 진육(震肉, 벼락맞아 죽은 짐승의 고기) 434
118 [탕액편] 물고기부[魚部] ○ 모두 53가지이다. 528
117 [탕액편]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1238
116 [탕액편] 즉어(?魚, 붕어) 677
115 [탕액편] 오적어골(烏賊魚骨, 오징어뼈) 669
114 [탕액편] 여어(?魚, 가물치) 558
113 [탕액편] 만려어(鰻?魚, 뱀장어) 999
112 [탕액편] 교어피(鮫魚皮, 상어가죽) 627
111 [탕액편] 궐어(?魚, 쏘가리) 714
110 [탕액편] 청어(靑魚) 551
109 [탕액편] 석수어(石首魚, 조기) 616
108 [탕액편] 치어(?魚, 숭어) 519
107 [탕액편] 노어(?魚, 농어) 561
106 [탕액편] 점어(鮎魚, 메기) 609
105 [탕액편] 선어(?魚, 두렁허리) 803
104 [탕액편] 비목어(比目魚, 가자미) 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