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황량미(黃粱米)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487 추천 수 0
◈ 黃粱米 ○ 누른냥미性平味甘無毒益氣和中止泄[本草] ○ 靑白粱食之不及黃粱靑白二種性皆微凉獨黃粱性甘平豈非得土之中和氣多耶[本草] ○ 粱類穗皆大而毛長米比粟更大黃粱食之香美愈於諸粱號爲竹根黃[入門]

☞ 황량미(黃粱米)

○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기를 보하고 중초를 조화시켜서 설사를 멎게 한다[본초]. ○ 생동쌀(靑粱)과 백량미(白粱)가 먹는 데는 황량미만 못하다. 생동쌀이나 백량미는 다 성질이 약간 서늘하고[微凉] 황량미는 성질이 달고[甘] 평(平)한데 그것은 땅에서 고른 기운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본초]. ○ 양미 종류[梁類]는 다 이삭이 크고 털이 길며 쌀알은 좁쌀알보다 크다. 황량미는 다른 양미 보다 향기롭고 맛이 좋은데 죽근황(竹根黃)이라고도 한다[입문].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23 [탕액편] 밀술을 만드는 방법[作酒本] 1259
22 [탕액편]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1164
21 [탕액편]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1192
20 [탕액편] 상반약(相反藥) 1162
19 [탕액편]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 1665
18 [탕액편] 약을 먹을 때 꺼려야 할 음식[服藥食忌] 1113
17 [탕액편] 여러 경락으로 인경하는 약[諸經引藥] 1260
16 [탕액편] 5장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五藏補瀉] 1968
15 [탕액편]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1144
14 [탕액편]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1150
13 [탕액편]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2407
12 [탕액편]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1129
11 [탕액편] 약을 달이는 방법[煮藥法] 1114
10 [탕액편] 근, 량, 되, 말[斤兩升斗] 2087
9 [탕액편] 12제(十二劑) 2324
8 [탕액편] 7방(七方) 2127
7 [탕액편]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1390
6 [탕액편]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1329
5 [탕액편]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1205
4 [탕액편] 오랫동안 둬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1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