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출미(?米, 찰기장쌀)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671 추천 수 0
◈ ?米 ○ ?기장?性微寒(一云平)味甘無毒利大腸療漆瘡殺瘡疥毒熱壅五藏氣動風不可常食[本草] ○ 仙家重此作酒最勝餘米[本草] ○ 此人以作酒及煮糖者[本草] ○ 似黍米而粒小北人謂之黃米亦謂黃?釀酒最佳[本草]

☞ 출미(?米, 찰기장쌀)

○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 (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대장을 순조롭게 하고 옻이 올라 헌 것[漆瘡]을 치료하며 옴독과 열을 없앤다. 그러나 5장의 기운을 막히게 하고 풍(風)을 동(動)하게 하기 때문에 늘 먹어서는 안 된다[본초]. ○ 도교를 믿는 사람들은 이것을 귀하게 여기면서 술을 만드는 데는 다른 쌀보다 좋다고 한다[본초]. ○ 사람들은 이것으로 술과 엿을 만든다[본초]. ○ 기장(黍米)과 비슷하나 알이 잘다. 북쪽 지방 사람들은 이것을 보고 황미(黃米)라고도 하고 황나(黃?)라고도 하는데 술을 만드는 데는 제일 좋은 것이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63 [탕액편] 마비탕(麻沸湯, 생삼을 삶은 물을 말한다.) 476
62 [탕액편] 열탕(熱湯, 뜨겁게 끓인 물을 말한다.) 548
61 [탕액편] 생숙탕(生熟湯, 끓는 물에 찬 물을 탄 것을 말한다.) 743
60 [탕액편] 요수(?水, 산골에 고인 빗물을 말한다.) 483
59 [탕액편] 지장수(地漿, 누런 흙물을 말한다.) 577
58 [탕액편] 장수(漿水, 신좁쌀죽의 윗물을 말한다.) 667
57 [탕액편] 냉천(冷泉, 맛이 떫은 찬 물을 말한다. 448
56 [탕액편] 온천물[溫泉] 454
55 [탕액편] 급류수(急流水) 505
54 [탕액편] 순류수(順流水, 순하게 흐르는 물을 말한다.) 470
53 [탕액편] 역류수(逆流水) 445
52 [탕액편] 감란수(甘爛水, 몹시 휘저어서 거품이 생긴 물을 말한다.) 604
51 [탕액편] 천리수(千里水) 418
50 [탕액편] 벽해수(碧海水, 짠 바닷물) 569
49 [탕액편] 옥정수(玉井水, 옥이 있는 곳에서 나오는 샘물) 524
48 [탕액편] 모옥누수(茅屋漏水, 새미엉에서 흘러 내린 물) 511
47 [탕액편] 옥류수(屋?水, 볏짚 지붕에서 흘러 내린 물) 534
46 [탕액편] 반천하수(半天河水) 487
45 [탕액편]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 450
44 [탕액편] 방제수(方諸水, 조개껍질을 밝은 달빛에 비추어 가지고 그것으로 받은 물) 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