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대맥(大麥, 보리)

한닥터 2011.10.25 조회 수 551 추천 수 0
◈ 大麥 ○ 보리?性溫(一云微寒)味?無毒益氣調中止泄補虛實五藏久食令人肥健滑澤[本草] ○ 令人多熱爲五穀長[本草] ○ 久食頭髮不白不動風氣暴食稍似脚弱爲下氣故也熟則益人帶生則冷損人[本草] ○ 大麥同小麥以秋種者爲良春種者氣不足故力劣[本草] ○ 和鍼砂沒石子染鬚甚黑[入門]

☞ 대맥(大麥, 보리)

○ 성질이 따뜻하다[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고[?] 독이 없다. 기를 돕고[益氣] 중초를 조화시키며[調中] 설사를 멎게 하고 허한 것을 보한다. 또는 5장을 든든하게 하는데 오랫동안 먹으면 살이 찌고 건강해지며 몸이 윤택해진다[본초]. ○ 몸을 덥히는 데[多熱]는 5곡 가운데서 제일이다[본초]. ○ 오랫동안 먹으면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고 풍(風)이 동(動)하지 않는다. 그러나 갑자기 많이 먹으면 다리가 약간 약해지는데 그것은 기를 내리기 때문이다. 잘 익혀 먹으면 사람에게 이롭지만 약간 설어도 성질이 차지므로[寒] 사람을 상하게 한다[본초]. ○ 보리는 밀과 같이 가을에 심은 것이 좋다. 봄에 심은 것은 약 기운이 부족하기 때문에 효과가 적다[본초]. ○ 침사(鍼砂), 몰석자(沒石子)와 함께 넣어서 달인 물로 수염에 물들이면 아주 거멓게 된다[입문].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263 [탕액편] 서각(犀角) 447
262 [탕액편] 냉천(冷泉, 맛이 떫은 찬 물을 말한다. 448
261 [탕액편] 백마경(白馬莖) 448
260 [탕액편]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450
259 [탕액편] 매우수(梅雨水, 매화열매가 누렇게 된 때에 내린 빗물) 450
258 [탕액편] 어회(魚膾, 물고기회) 450
257 [탕액편] 대매(?瑁, 대모) 451
256 [탕액편] 석룡자(石龍子, 도마뱀) 451
255 [탕액편] 오사(烏蛇) 453
254 [탕액편] 온천물[溫泉] 454
253 [탕액편] 정저사(井底沙, 우물 밑의 모래) 454
252 [탕액편] 난발(亂髮) 454
251 [탕액편] 발피(髮?, 달비) 454
250 [탕액편] 궤육(?肉, 효근노루) 455
249 [탕액편] 백유마(白油麻, 흰참깨) 458
248 [탕액편] 의이인(薏苡仁, 율무쌀) 459
247 [탕액편] 탁목조(啄木鳥, 딱따구리) 460
246 [탕액편] 달간(獺肝) 461
245 [탕액편] 구인(?蚓, 지렁이) 461
244 [탕액편] 행핵인(杏核仁, 살구씨)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