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복익(伏翼, 박쥐)

한닥터 2011.10.26 조회 수 463 추천 수 0
◈ 伏翼 ○ ?쥐性平(一云微熱)味?無毒(一云有毒)主目暝痒痛明目夜視有光療五淋利水道一名??[本草] ○ 伏翼以其晝伏有翼爾[本草] ○ 在山谷及人家屋間立夏後採暴乾[本草] ○ 此物善服氣故能壽[本草] ○ 先拭去毛及腸?嘴脚灸乾用之[入門]

☞ 복익(伏翼, 박쥐)

○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열하다[微熱]고도 한다) 맛이 짜며[?]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눈이 어둡고 가려우면서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눈을 밝게 한다. 5림(五淋)을 낫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일명 편복(??)이라고도 한다[본초]. ○ 복익이라고 한 것은 낮에는 엎드려 있고 날개가 있다는 것이다[본초]. ○ 이것은 산골짜기나 지붕 사이에서 산다. 입하(立夏) 후에 잡아서 볕에 말려 쓴다[본초]. ○ 이것은 공기를 먹기[服氣] 때문에 오래 살 수 있다[본초]. ○ 쓰는 방법은 먼저 털을 없애버린 다음 내장과 주둥이와 다리를 떼버리고 구워서 말려[灸乾] 쓴다[입문]. 

◈ 糞 ○ 名夜明砂能明目治內外障又炒服治??[入門]
☞ 복익분(伏翼糞) ○ 야명사(夜明砂)라고도 하는데 눈을 밝게 하고 내장과 외장[內外障]을 치료한다. 또한 볶아 먹으면 나력(??)이 낫는다[입문]. 

◈ 天鼠 ○ 셕죵유나?굴에이??쥐一名仙鼠卽伏翼也在乳石洞中食其精汁色白大如鳩鵲壽皆千歲此仙經所謂肉芝也食之令人肥健長年今??多生古屋中其色白而大者盖稀有料其出乳石洞中者如此爾[本草] ○ 在洞中皆倒懸盖其腦重故也[本草]
☞ 천서(天鼠) ○ 일명 선서(仙鼠)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바로 박쥐이다. 석종유가 있는 굴[乳石洞] 속에서 살면서 그 정기를 빨아 먹는다. 빛이 흰데 큰 비둘기나 까치같이 생겼다. 천년 동안 산다. 이것이 『선경(仙經)』에 씌어 있는 육지(肉芝)인데 먹으면 살찌고 건강해져서 오래 살 수 있다. 지금 보통 박쥐는 흔히 오래된 집에서 사는데 빛이 희면서 큰 것은 대체로 드물다. 석종유가 있는 굴 속에 사는 것이라야 희고 크다[본초]. ○ 굴 속에 거꾸로 매달려 사는데 그것은 대가리가 무겁기 때문이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383 [탕액편] 절지(竊脂) 6679
382 [탕액편]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2407
381 [탕액편] 12제(十二劑) 2324
380 [탕액편] 7방(七方) 2127
379 [탕액편] 근, 량, 되, 말[斤兩升斗] 2087
378 [탕액편] 5장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五藏補瀉] 1968
377 [탕액편]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 1665
376 [탕액편]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1390
375 [탕액편]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1374
374 [탕액편]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1329
373 [탕액편] 두꺼비 진을 내는 방법[取蟾 法] 1291
372 [탕액편] 백약전을 만드는 방법[百藥煎法] 1290
371 [탕액편] 여러 경락으로 인경하는 약[諸經引藥] 1260
370 [탕액편] 밀술을 만드는 방법[作酒本] 1259
369 [탕액편]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1238
368 [탕액편] 오랫동안 둬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1236
367 [탕액편]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1205
366 [탕액편]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1192
365 [탕액편] 우담남성을 만드는 방법[製牛膽南星法] 1174
364 [탕액편]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1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