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표육(豹肉 표범의고기)

한닥터 2011.10.27 조회 수 437 추천 수 0
◈ 豹肉 ○ 표범의고기性平味酸無毒(一云微毒)主安五藏壯筋骨輕身益氣令人猛健又主鬼魅邪神[本草] ○ 肉食令人志性#疎少時消卽定久食耐寒暑 ○ 豹毛赤黃其紋黑如錢而中空比比相次此獸猛捷過虎故能安五藏而輕身[本草]

☞ 표육(豹肉)

○ 성질이 평(平)하며 맛이 시고[酸]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한다). 5장을 편안하게 하고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며 몸이 가벼워지게 하고 기를 도와주며[益氣] 용감해지게 한다. 또한 가위에 눌린 것[魂味]과 헛것에 들린 것[邪神]을 낫게 한다[본초]. ○ 표범의 고기를 먹으면 성질이 거칠어진다. 그러나 조금 있으면 없어진다. 오랫동안 먹으면 추위와 더위에 잘 견딘다. ○ 표범털은 빛이 붉으면서 누렇고 무늬는 돈잎 같으면서 거멓고 가운데가 비었는데 줄지어 있다. 표범은 범보다 더 날쌔다. 때문에 5장(五臟)을 안정시키고 몸을 가벼워지게 한다[본초]. 

◈ 脂 ○ 可合生髮膏朝塗暮生[本草]
☞ 표지(豹脂) ○ 머리털을 나오게 하는 고약[生髮膏]을 만들어 아침에 바르면 저녁에 머리털이 나온다[본초]. 

◈ 頭骨 ○ 燒灰淋汁沐頭去風屑[本草]
☞ 표두골(豹頭骨) ○ 태워 재를 내서 잿물을 받아 머리를 감으면 비듬이 없어진다[본초]. 

◈ 鼻 ○ 主狐魅[本草]
☞ 표비(豹鼻) ○ 여우에 홀린 병[狐魅]을 낫게 한다[본초]. 

◈ 皮 ○ 寢之去瘟疫?鬼邪[本草]
☞ 표피(豹皮) ○ 깔고 자면 온역(瘟疫)이 낫고 헛것[鬼邪]이 없어진다[본초]. 

◈ 土豹 ○ 시라손此物毛更無紋色亦不赤其形亦小此爲自有種非能變爲虎也[本草]
☞ 토표(土豹, 시라소니) ○ 털에 무늬가 없고 빛이 붉지 않으며 몸집이 작다. 이것이 범은 아니지만 그의 한 종류이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3 [탕액편] 하빙(夏氷, 여름철의 얼음) 540
42 [탕액편] 박(雹, 우박) 473
41 [탕액편] 동상(冬霜, 겨울철에 내린 서리) 426
40 [탕액편]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450
39 [탕액편]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607
38 [탕액편]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468
37 [탕액편]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636
36 [탕액편]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497
35 [탕액편]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514
34 [탕액편]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402
33 [탕액편] 약으로 쓰는 물㈜[水部] 427
32 [탕액편] 우담남성을 만드는 방법[製牛膽南星法] 1174
31 [탕액편] 참대기름을 내는 방법[取竹瀝法] 1123
30 [탕액편] 두꺼비 진을 내는 방법[取蟾 法] 1291
29 [탕액편] 찐지황을 만드는 방법[作熟地黃法] 1139
28 [탕액편]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1374
27 [탕액편] 엿을 달이는 방법[造飴糖法] 1108
26 [탕액편] 약전국을 만드는 방법[造 法] 1077
25 [탕액편] 백약전을 만드는 방법[百藥煎法] 1290
24 [탕액편] 약누룩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1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