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점어(鮎魚, 메기)

한닥터 2011.10.31 조회 수 609 추천 수 0
◈ 鮎魚 ○ 머여기性煖味甘無毒主浮腫下水利小便 ○ 生池澤處處有之大首方口背靑黑無麟多涎 ○ 有三種口腹俱大者名?(音戶)背靑口小者名鮎口小背黃腹白者名?(音危)皆無麟有毒非食品之佳味也一名?[本草]

☞ 점어(鮎魚, 메기) ○ 성질은 덥고[熱]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부은 것을 내리고 오줌을 잘 누게 한다. ○ 못에서 사는데 어느 못에나 다 있다. 대가리가 크고 입은 모가 났으며 등이 검푸르고 비늘이 없으며 침이 많다. ○ 3가지 종류가 있는데 입과 배가 다 큰 것은 호어(?魚)라고 하고 등이 퍼렇고 입이 작은 것은 점어(鮎魚)라고 하며 입이 작고 등이 누렇고 배가 허연 것은 위어(?魚)라고 한다. 이것은 다 비늘이 없고 독이 있기 때문에 식료품으로는 좋지 않다. 일명 이어(?魚)라고도 한다[본초]. 

◈ 涎 ○ 主三消渴疾[本草]

☞ 점연(鮎涎) ○ 상, 중, 하의 3가지 소갈[三消渴]을 치료한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283 [탕액편] 교어피(鮫魚皮, 상어가죽) 627
282 [탕액편] 청량미(靑粱米, 생동쌀) 621
281 [탕액편] 석수어(石首魚, 조기) 616
280 [탕액편] 호골(虎骨, 범뼈, 호랑이뼈) 613
[탕액편] 점어(鮎魚, 메기) 609
278 [탕액편] 귀갑(龜甲, 남생이 등딱지) 609
277 [탕액편] 유자(柚子) 609
276 [탕액편]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607
275 [탕액편] 감란수(甘爛水, 몹시 휘저어서 거품이 생긴 물을 말한다.) 605
274 [탕액편] 팔초어(八梢魚, 문어) 599
273 [탕액편] 공어(?魚, 가오리) 598
272 [탕액편] 추어(鰍魚, 미꾸라지) 595
271 [탕액편] 노육(驢肉, 나귀고기) 594
270 [탕액편] 진름미(陳?米, 묵은 쌀) 592
269 [탕액편] 작육(雀肉, 참새고기) 592
268 [탕액편] 나미(?米, 찹쌀) 591
267 [탕액편] 목방(鶩肪, 집오리 기름) 586
266 [탕액편] 석류(石榴) 580
265 [탕액편] 회어(?魚, 민어) 579
264 [탕액편] 송어(松魚) 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