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해마(海馬)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464 추천 수 0
◈ 海馬 ○ 性平溫無毒主難産 ○ 婦人難産手握此?則如羊之産也生物中羊産最易臨産帶之或手持之可也 ○ 一名水馬生南海中大小如守宮頭如馬身如鰕背??其色黃褐盖鰕類也收之暴乾以雌雄爲一對[本草]

☞ 해마(海馬) ○ 성질이 평(平)하고 따뜻하며[溫] 독이 없다. 난산(難産)을 치료한다. ○ 부인이 난산할 때에 손에 이것을 쥐면 순산하게 된다(생물 가운데서 양이 새끼를 제일 쉽게 낳는다) 해산할 무렵에 몸에 대고 있거나 손에 쥐고 있으면 좋다. ○ 일명 수마(水馬)라고도 한다. 남해에서 사는데 크기는 수궁만하고 대가리는 말 같으며 몸뚱이는 새우 같고 등은 곱사등처럼 되고 누르거무스름한 빛이 난다. 새우의 한 종류인데 잡아서 햇볕에 말려 쓴다. 암컷과 수컷 한 쌍을 써야 한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43 [탕액편] 하빙(夏氷, 여름철의 얼음) 540
42 [탕액편] 박(雹, 우박) 473
41 [탕액편] 동상(冬霜, 겨울철에 내린 서리) 426
40 [탕액편] 추로수(秋露水, 가을철 이슬) 450
39 [탕액편]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607
38 [탕액편] 납설수(臘雪水, 섣달 납향에 온 눈 녹은 물) 468
37 [탕액편] 국화수(菊花水, 국화 밑에서 나는 물) 636
36 [탕액편] 한천수(寒泉水, 찬샘물) 497
35 [탕액편] 정화수(井華水, 새벽에 처음 길은 우물물) 514
34 [탕액편] 물의 품질에 대하여[論水品] 402
33 [탕액편] 약으로 쓰는 물㈜[水部] 427
32 [탕액편] 우담남성을 만드는 방법[製牛膽南星法] 1174
31 [탕액편] 참대기름을 내는 방법[取竹瀝法] 1123
30 [탕액편] 두꺼비 진을 내는 방법[取蟾 法] 1291
29 [탕액편] 찐지황을 만드는 방법[作熟地黃法] 1139
28 [탕액편]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1374
27 [탕액편] 엿을 달이는 방법[造飴糖法] 1108
26 [탕액편] 약전국을 만드는 방법[造 法] 1077
25 [탕액편] 백약전을 만드는 방법[百藥煎法] 1290
24 [탕액편] 약누룩을 만드는 방법[造神麴法] 1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