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구인(?蚓, 지렁이)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461 추천 수 0
◈ ?蚓 ○ 디룡이性寒味?無毒(一云小毒)主蛇?蠱毒去三?殺長?療傷寒伏熱發狂及黃疸幷天行熱疾喉痺蛇?傷 ○ 一名地龍白頸是其老者宜用此三月取破去土日乾微熬作末用之 ○ 取生者去土着?須臾成水名地龍汁 ○ 行路人踏殺者名千人踏入藥燒用[本草] ○ 性寒大解熱毒若腎藏風下?病不可闕也仍須?湯送下[丹心]

☞ 구인(?蚓, 지렁이) ○ 성질이 차고[寒] 맛이 짜며[?]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한다). ○ 사가(蛇?)㈜와 고독을 치료하고 3충을 없애며 회충을 죽인다. [註] 사가(蛇?) : 식적과 충적으로 배에 뱀 비슷한 징가가 생겨서 때로 가슴으로 치밀어 올라 답답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증. 상한 때에 잠복된 열로 발광하는 것과 황달, 돌림열병, 후비, 뱀이나 벌레한테 물린 것을 치료한다. ○ 일명 지룡(地龍)이라고도 한다. 목에 흰 테를 두른 것은 늙은 것인데 이것을 약으로 쓴다. 음력 3월에 잡아서 흙을 뺀 다음 햇볕에 말려 약간 볶아서 가루내어 쓴다. 산것을 잡아 흙을 뺀 다음 소금을 치면 곧 물로 되는데 이것을 지렁이즙(地龍汁)이라고 한다. ○ 길가던 사람이 밟아서 죽은 것을 천인답(千人踏)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불에 구워서 약으로 쓴다[본초]. ○ 성질이 차서[寒] 열독을 잘 푸는데 신장풍(腎藏風)과 하주병(下?病)에 없어서는 안 될 약이다. 반드시 소금 끓인 물에 타서 먹어야 한다[단심]. 

◈ 屎 ○ 呼爲蚓?又名六一泥在?菜地上者佳療狂犬傷瘡及諸惡瘡[本草]

☞ 구인시(?蚓屎) ○ 인루(蚓?), 또는 육일니(六一泥)라고 하는데 부추밭에 있는 것이 좋다. 미친 개한테 물려서 난 헌데와 모든 악창을 치료한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383 [탕액편] 절지(竊脂) 6679
382 [탕액편]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2407
381 [탕액편] 12제(十二劑) 2324
380 [탕액편] 7방(七方) 2127
379 [탕액편] 근, 량, 되, 말[斤兩升斗] 2087
378 [탕액편] 5장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五藏補瀉] 1968
377 [탕액편]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 1665
376 [탕액편]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1390
375 [탕액편] 반하국을 만드는 방법[造半夏麴法] 1374
374 [탕액편]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1329
373 [탕액편] 두꺼비 진을 내는 방법[取蟾 法] 1291
372 [탕액편] 백약전을 만드는 방법[百藥煎法] 1290
371 [탕액편] 여러 경락으로 인경하는 약[諸經引藥] 1260
370 [탕액편] 밀술을 만드는 방법[作酒本] 1259
369 [탕액편]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1238
368 [탕액편] 오랫동안 둬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1236
367 [탕액편]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1205
366 [탕액편] 불에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할 약[不見火藥] 1192
365 [탕액편] 우담남성을 만드는 방법[製牛膽南星法] 1174
364 [탕액편] 술에 약을 담그는 방법[漬藥酒法] 1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