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유자(柚子)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609 추천 수 0
◈ 柚子 ○ 유?皮厚味甘無毒去胃中惡氣解酒毒治飮酒人口氣 ○ 果之美者有雲夢之柚 ○ 小曰橘大曰柚柚似橙而大於橘[本草] ○ 橘之大者曰柚[丹心]

☞ 유자(柚子) ○ 유자의 껍질은 두텁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위(胃) 속의 나쁜 기를 없애고 술독을 풀며 술을 마시는 사람의 입에서 나는 냄새를 없앤다. ○ 좋은 과실로서는 운몽(雲夢) 지방에서 나는 유자가 좋다. ○ 작은 것은 귤이고 큰 것은 유자인데 유자는 등자(橙子)와 비슷하면서 귤보다 크다[본초]. ○ 귤이 큰 것을 유자라고 한다[단심].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123 [탕액편] 백아육(白鵝肉, 흰 거위고기) 571
122 [탕액편] 연어(?魚) 576
121 [탕액편] 지장수(地漿, 누런 흙물을 말한다.) 577
120 [탕액편] 송어(松魚) 578
119 [탕액편] 회어(?魚, 민어) 579
118 [탕액편] 석류(石榴) 580
117 [탕액편] 목방(鶩肪, 집오리 기름) 586
116 [탕액편] 나미(?米, 찹쌀) 591
115 [탕액편] 진름미(陳?米, 묵은 쌀) 592
114 [탕액편] 작육(雀肉, 참새고기) 592
113 [탕액편] 노육(驢肉, 나귀고기) 594
112 [탕액편] 추어(鰍魚, 미꾸라지) 595
111 [탕액편] 공어(?魚, 가오리) 598
110 [탕액편] 팔초어(八梢魚, 문어) 599
109 [탕액편] 감란수(甘爛水, 몹시 휘저어서 거품이 생긴 물을 말한다.) 604
108 [탕액편] 춘우수(春雨水, 정월에 처음으로 내린 빗물) 607
107 [탕액편] 점어(鮎魚, 메기) 609
106 [탕액편] 귀갑(龜甲, 남생이 등딱지) 609
[탕액편] 유자(柚子) 609
104 [탕액편] 호골(虎骨, 범뼈, 호랑이뼈) 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