탕액편

율자(栗子, 밤)

한닥터 2011.11.03 조회 수 462 추천 수 0
◈ 栗子 ○ 밤性溫味?無毒益氣厚腸胃補腎氣令人耐飢 ○ 處處有之九月採 ○ 果中栗最有益欲乾莫如暴欲生收莫如潤沙中藏至春末夏初向如初採摘 ○ 生栗可於熱灰中?令汁出食之良不得通熟熟則壅氣生則發氣故火?殺其木氣耳 ○ 有一種栗(피덕뉼)頂圓末尖謂之旋栗但形差小耳[本草]

☞ 율자(栗子, 밤) ○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짜며[?] 독이 없다. 기를 도와주고 장위를 든든하게 하며 신기(腎氣)를 보하고 배가 고프지 않게 한다. ○ 어느 곳에나 있는데 음력 9월에 딴다. ○ 과실 가운데서 가장 좋다. 말리려고 할 때에는 갑자기 말리지 말아야 한다. 생으로 두려면 눅눅하게 두지 말아야 한다. 밤을 모래 속에 묻어 두면 다음 해 늦은 봄이나 초여름에 가서도 갓 딴 것과 같다. ○ 생밤(生栗)은 뜨거운 잿불에 묻어 진이 나게 구워 먹어야 좋다. 그러나 속까지 익히지 말아야 한다. 속까지 익히면 기가 막히게 된다. 생으로 먹어도 기를 발동하게 하므로 잿불에 묻어 약간 구워 그 나무의 기를 없애야 한다. ○ 밤의 한 가지 종류로서 꼭대기가 둥글고 끝이 뾰족한데 이것을 선율(旋栗)이라고 한다. 그 크기는 밤보다 좀 작을 뿐이다[본초]. 

◈ 皮 ○ 名扶卽栗子上皮也和蜜塗人令急縮可展老人面皮皺[本草]

☞ 율피(栗皮, 밤껍질) ○ 이것을 '부(扶)'라고도 하는데 즉 밤알껍질이다. 이것을 꿀에 개어 바르면 피부가 수축된다. 늙은이의 얼굴에 생긴 주름살을 펴게 한다[본초]. 

◈ 毛殼 ○ 止反胃及消渴瀉血煮汁飮又療毒腫[本草]

☞ 율모각(栗毛殼, 밤송이) ○ 반위(反胃)와 소갈증, 뒤로 피를 쏟는 것[瀉血]을 치료한다. 밤송이를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 또는 독종(毒腫)㈜을 치료한다[본초]. [註] 독종(毒腫) : 헌데의 독. 종독이라고도 한다. 

◈ 栗楔 ○ 栗三顆共一毬其中者楔也亦作?理筋骨風痛幷付??腫痛毒出箭頭及惡刺[本草]

☞ 율설(栗楔, 밤의 가운데 톨) ○ 밤 한송이 안에 3알이 들어 있을 때 그 가운데 것을 말한다. 혹은 쐐기톨이라고도 한다. 힘줄과 뼈가 풍으로 아픈 것을 낫게 하고 나력(??)으로 붓고 아픈 데와 독이 서는 데[出] 발라 준다. 화살촉이나 가시를 빼낸다[본초].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조회 수
383 [탕액편] 달임약, 가루약, 알약을 만드는 방법[湯散丸法] 1390
382 [탕액편]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制藥方法] 1329
381 [탕액편] 약을 법제하는 방법[修製法] 1205
380 [탕액편] 약을 말리는 방법[乾藥法] 1041
379 [탕액편] 세가지 품질[三品]의 약성[藥性] 1027
378 [탕액편] 오랫동안 둬두면 좋은 6가지 약[六陳良藥] 1236
377 [탕액편] 약을 채취하는 방법[採藥法] 1032
376 [탕액편] 7방(七方) 2126
375 [탕액편] 12제(十二劑) 2323
374 [탕액편] 근, 량, 되, 말[斤兩升斗] 2087
373 [탕액편] 약을 달이는 방법[煮藥法] 1114
372 [탕액편] 약을 먹는 방법[腹藥法] 1129
371 [탕액편]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2406
370 [탕액편] 약의 기미와 승강[氣味升降] 1150
369 [탕액편] 뿌리와 잔뿌리를 쓰는 방법[用根梢法] 1144
368 [탕액편] 5장을 보하거나 사하는 것[五藏補瀉] 1967
367 [탕액편] 여러 경락으로 인경하는 약[諸經引藥] 1260
366 [탕액편] 약을 먹을 때 꺼려야 할 음식[服藥食忌] 1113
365 [탕액편] 구리와 쇠를 꺼리는 약[忌銅鐵藥] 1665
364 [탕액편] 상반약(相反藥) 1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