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음언어병(聲音言語病)

웅이아빠 2009.05.29 조회 수 3859 추천 수 0

성음언어병(聲音言語病)

섬어(?語), 정성(鄭聲), 담색불어(痰塞不語), 망혈불어(亡血不語), 대경불어(大驚不語), 중풍불어(中風不語), 성시(聲嘶), 광어(狂語)로 분류한다.

① 섬어(?語) : ?은 亂語하며 妄言하는 것으로 平生常事를 말하며, 或은 開目而自言하며, 未見事를 말하기도 하며, 혹은 睡中??하고, 或은 呻吟이 不已하는 것을 말한다.

② 정성(鄭聲) : 言語가 다음말과 같이 連續되지 않고 一句의 같은 말만 重複하여 重言復言하는 것을 말한다.

③ 담색불어(痰塞不語) : 足少陰脈 舌本에 挾하고, 足太陰脈은 舌本에 連하고, 手少陰別脈은 舌本에 繫하므로, 이 三脈이 虛하면 痰涎이 乘虛하고 그 脈道가 閉塞하여 舌이 不能轉運言語한다.

④ 망혈불어(亡血不語) : 足少陰脈에 刺出血하여 重虛하면 舌이 難以言하며, 舌下中脈을 刺하여 出血不止하여 太過하면 不語한다.

⑤ 대경불어(大驚不語) : 大驚하여 入心하면 敗血 頑痰이 塡塞心竅하는 故로 ?이 되어 不能言한다.

⑥ 중풍불어(中風不語) : 言澁은 모두 風에 屬하는데, 內經에 의하면 腎氣가 內奪되면 厥逆하여 舌?足廢한다고 하였다.

⑦ 성시(聲嘶) : 聲嘶證은 破聲을 말하는 것인데, 音聲이 淸雅하지 못하고 沈濁한 것을 말한다. 목소리가 낮고 혼탁하여 맑지 않은 것, 즉 목소리가 쉰 것.

⑧ 광어(狂語) : 衣被를 不斂하고 言語에 善惡하며 親疎을 不避함은 神明이 亂한 것으로 狂言이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43 [사] 심허증(心虛證) profile 웅이아빠 4567
42 [사] 산후유즙불행(産後乳汁不行) profile 웅이아빠 4558
41 [사] 수포성 피부질환(水疱性 皮膚疾患) profile 웅이아빠 4552
40 [사] 산후욕로(産後褥?) profile 웅이아빠 4485
39 [사] 선기욕산(조산)[先期欲産(早産)] profile 웅이아빠 4450
38 [사] 신생아의 제(臍)와 관련된 병태(病態) profile 웅이아빠 4331
37 [사] 산후전신통(産後全身痛) profile 웅이아빠 4298
36 [사] 소음병증 profile 웅이아빠 4275
35 [사] 상근(傷筋) profile 웅이아빠 4180
34 [사] 소양상풍증(少陽傷風證) profile 웅이아빠 4166
33 [사] 산후한다(産後汗多) profile 웅이아빠 4064
32 [사] 심실증(心實證) profile 웅이아빠 4064
31 [사] 소양결흉증(少陽結胸證) profile 웅이아빠 3898
[사] 성음언어병(聲音言語病) profile 웅이아빠 3859
29 [사] 소양병증 profile 웅이아빠 3824
28 [사] 심하비경(心下?硬) profile 웅이아빠 3805
27 [사] 성음질환(聲音疾患) profile 웅이아빠 3788
26 [사] 상태(傷胎) profile 웅이아빠 3767
25 [사] 소음병(少陰病) profile 웅이아빠 3745
24 [사] 수면장애(睡眠障碍) profile 웅이아빠 3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