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木部]

유화(柳花, 버들개지) 유지(柳枝, 버드나무가지) 목중충설(木中蟲屑, 버드나무 속의 좀똥) 유엽(柳葉, 버들잎) 적정(赤檉, 붉은 개버들)

한닥터 2015.03.09 조회 수 316 추천 수 0

유화(柳花, 버들개지)

성질은 차며[寒] 맛은 쓰고[苦] 독이 없다. 풍수종, 황달, 얼굴이 뜨거운 증과 검은 딱지가 앉는 증, 악창을 낫게 하며 쇠붙이에 다쳐서 출혈을 멈추며 습비(濕痺)를 낫게 한다.

○ 버들개지는 처음 필 때의 누른 꽃술(黃蘂)이다. 그 꽃이 말라야 솜 같은 것이 나오는데 이것을 버들솜(柳絮)이라고 한다. 이것을 모아 뜸자리 헌데에도 바르고 포단도 만든다. 이것은 날아다니는 솜인데 그 속에 잘고 검은 씨가 달려 있다. 바람에 날려 다닌다. 그 씨는 아주 잔데 못에 떨어지면 개구리밥(浮萍)이 된다[본초].

○ 백양나무와 버드나무는 다르다. 백양나무는 잎이 둥글고 넓으며 붉고 가지가 짧고 단단하다. 버드나무는 잎이 좁고 길며 연한 풀빛이고 가지가 길며 부드럽다[본초].


유지(柳枝, 버드나무가지)

치통과 풍열로 붓고 가려운 때에 씻음약[浴湯] 또는 고약(膏藥)을 만들어 쓴다. 이빨병[牙齒病]에 매우 요긴한 약이다[본초].


목중충설(木中蟲屑, 버드나무 속의 좀똥)

풍증과 가려운 것, 두드러기를 낫게 한다[본초].


유엽(柳葉, 버들잎)

정창( 瘡)과 끓는 물 또는 불에 데어 독이 속에 들어가서 열이 나고 답답해하는 것을 낫게 한다. 전시(傳尸), 골증로(骨蒸勞)를 낫게 하며 부종을 내리게 한다.

○ 고약을 만들어 쓰면 힘줄과 뼈를 이어지게 하며 새살을 잘 살아나오게 하고 치통을 멎게 한다[본초].


적정(赤檉, 붉은 개버들)

일명 우사(雨師)라고도 하는데 강가에서 자라는 작은 버들이다. 줄기가 벌겋고 잎이 가늘다. 즉 벌건 버들이다. 옴과 버짐 모든 악창을 낫게 한다[본초].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합환피(合歡皮, 자귀나무껍질) 236
[나무[木部]] 오배자(五倍子, 붉나무열매집) 102
[나무[木部]] 천축황(天竺黃, 참대속진) 85
[나무[木部]] 밀몽화(密蒙花) 145
[나무[木部]] 파두(巴豆) 105
[나무[木部]] 조협(皂莢, 주염열매) 조협자(皂莢子, 주염열매씨) 조각자(皂角刺, 주염나무가시) 귀조협(鬼皂莢) 236
[나무[木部]] 가자(訶子) 121
[나무[木部]] 유화(柳花, 버들개지) 유지(柳枝, 버드나무가지) 목중충설(木中蟲屑, 버드나무 속의 좀똥) 유엽(柳葉, 버들잎) 적정(赤檉, 붉은 개버들) 316
[나무[木部]] 연실(練實, 고련실, 멀구슬나무열매) 연근(練根, 고련근) 137
[나무[木部]] 저근백피(樗根白皮, 가죽나무뿌리껍질) 126
[나무[木部]] 춘목엽(椿木葉, 춘나무잎) 72
[나무[木部]] 욱리인(郁李仁, 이스라치씨) 욱리근(郁李根, 이스라치뿌리) 129
[나무[木部]] 몰식자(沒食子) 162
[나무[木部]] 뇌환(雷丸) 59
[나무[木部]] 상실(橡實, 도토리) 상각(橡殼, 도토리껍질) 99
[나무[木部]] 낙수피(?樹皮, 떡갈나무껍질) 60
[나무[木部]] 곡약(?若, 조리참나무잎) 85
[나무[木部]] 백양수피(白楊樹皮, 백양나무껍질) 81
[나무[木部]] 소방목(蘇方木) 32
[나무[木部]] 동엽(桐葉, 오동나무잎) 동피(桐皮, 오동나무껍질) 동유(桐油, 오동나무기름) 192
[나무[木部]] 호초(胡椒, 후추) 109
[나무[木部]] 필징가(?澄茄) 27
[나무[木部]] 무환자피(無患子皮) 23
[나무[木部]] 익지자(益智子, 익지인) 29
[나무[木部]] 우이자(牛李子) 우이자(牛李子) 우이수피(牛李樹皮, 서리자나무뿌리껍질) 67
[나무[木部]] 정공등(丁公藤) 27
[나무[木部]] 화목피(樺木皮) 31
[나무[木部]] 목별자(木鼈子) 21
[나무[木部]] 조등(釣藤, 조구등) 18
[나무[木部]] 종려피(棕櫚皮)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