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身形)

단전(丹田)에는 세 가지가 있다[丹田有三]

한닥터 2011.07.12 조회 수 1589 추천 수 0
仙經曰, 腦爲髓海, 上丹田, 心爲絳宮, 中丹田, 臍下三寸, 爲下丹田. 下丹田, 藏精之府也. 中丹田, 藏神之府也. 上丹田, 藏氣之府也.
《선경》에, "뇌는 곧 수해(髓海)이니 상단전이고, 심은 곧 강궁(絳宮)이니 중단전이고, 배꼽 3촌 아래는 하단전이다. 하단전은 정을 저장하는 곳이고 중단전은 신(神)을 저장하는 곳이고 상단전은 기를 저장하는 곳이다"라 하였다.
2
悟眞篇註曰, 人之一身, 禀天地之秀氣而有生, 託陰陽陶鑄而成形. 故一身之中, 以精氣神爲主, 神生於氣, 氣生於精. 故修眞之士, 若執己身而修之, 無過煉治精氣神三物而已.
《오진편》의 주(註)에, "사람의 몸은 천지의 빼어난 기를 받아서 태어나 음양의 틀에 맞추어 형(形)이 빚어진다. 그러므로 몸을 주관하는 것은 정, 기, 신인데 신은 기에서 생겨나고 기는 정에서 생겨난다. 그러므로 진(眞)을 수양하는 사람이 자기 몸을 수련한다면, 정, 기, 신을 수련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은 없다"고 하였다.
3
邵康節曰, 神統於心, 氣統於腎, 形統於首. 形氣交而神主乎其中, 三才之道也.
소강절이, "신(神)은 심(心)이 거느리고 기(氣)는 신(腎)이 거느리며 형(形)은 머리가 거느린다. 형과 기가 만나고 신이 그 사이에서 주재하는데, 이것이 삼재의 도이다"라 하였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진액(津液)] 기가 모여서 액을 생기게 한다[積氣生液] 704
[진액(津液)] 눈물[泣] 722
[진액(津液)] 콧물[涕] 997
[진액(津液)] 멀건 침[涎] 946
[진액(津液)] 느침[唾] 767
[진액(津液)] 진액을 돌리는 방법[廻津法] 871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진액(津液)] 단방(單方)/진액 776
[진액(津液)] 침뜸치료[鍼灸法]/진액 692
[담음(痰飮)] 담(痰)과 연(涎), 음(飮) 세 가지는 같지 않다[痰涎飮三者不同] 1076
[담음(痰飮)] 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痰飮分淸濁] 893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58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6
[담음(痰飮)] 유음(留飮) 1447
[담음(痰飮)] 벽음(癖飮) 961
[담음(痰飮)] 담음(痰飮) 1211
[담음(痰飮)] 일음(溢飮) 986
[담음(痰飮)] 현음(懸飮) 1112
[담음(痰飮)] 지음(支飮) 1095
[담음(痰飮)] 복음(伏飮) 1028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70
[담음(痰飮)] 풍담(風痰) 2059
[담음(痰飮)] 한담(寒痰) 956
[담음(痰飮)] 습담(濕痰) 1428
[담음(痰飮)] 열담(熱痰) 2233
[담음(痰飮)] 울담(鬱痰) 1453
[담음(痰飮)] 기담(氣痰) 1528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3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6
[담음(痰飮)] 경담(驚痰) 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