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身形)

몸의 뒷부분[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한닥터 2011.07.12 조회 수 1263 추천 수 0
仙經曰, 背後有三關, 腦後曰玉枕關, 夾脊曰轆轤關, 水火之際曰尾閭關. 皆精氣升降往來之道路也. 若得斗柄之機斡運, 則上下循環如天河之流轉也.
《선경》에, "몸의 뒷면에는 삼관이 있다. 뒷머리를 옥침관(玉枕關)이라 하고 척추 양 옆을 녹로관(轆轤關)이라 하고 수화가 만나는 곳을 미려관(尾閭關)이라 한다. 삼관은 모두 정기(精氣)가 오르내리고 드나드는 도로이다. 만약 북두칠성의 자루가 돌듯이 삼관이 잘 돌아간다면, 정기가 위아래로 순환하는 것은 은하수가 북두칠성을 따라서 도는 것과 같을 것이다"라 하였다.
2
翠虛篇曰, 採之煉之未片餉, 一氣眇眇通三關, 三關來往氣無窮, 一道白脉朝泥丸, 泥丸之上紫金鼎, 鼎中一塊紫金團, 化爲玉漿流入口, 香甛淸爽遍舌端.
《취허편》에, "돋우고 단련한지 얼마 안 되어 하나의 기가 미미하게 삼관을 통한다. 삼관을 통하는 기는 다함이 없으니 한줄기 흰 맥이 이환궁(泥丸宮)에 모인다. 이환궁 위에는 자금정(紫金鼎)이요, 자금정 속에 한 덩이 자금단(紫金團)이 있다. 침으로 변하여 입으로 흘러드니 향긋하고 맑은 기 혀끝에 녹아든다"고 하였다.
3
參同契註曰, 人身氣血, 往來循環于上下, 晝夜不停, 猶江河之水, 東流至于海而不竭, 殊不知名山大川孔穴皆相通也. 水由地中行, 盖循環相往來也. 日月之行亦然.
《참동계》의 주(註)에, "사람의 기혈은 위아래로 왕래하며 밤낮으로 쉬지 않고 돌아간다. 마치 강물이 바다에 닿을 때까지 끊임없이 동쪽으로 흘러도 고갈되지 않는 것과 같다. 고갈되지 않는 이유는 산과 강의 구멍이 모두 서로 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은 땅 속에서 순환하여 흐른다. 해와 달의 운행도 마찬가지다"라 하였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언어(言語)] 하품[欠] 741
[언어(言語)] 재채기[?] 793
[언어(言語)] 트림[噫] 711
[언어(言語)] 한숨[太息] 704
[언어(言語)] 몹시 놀라서 말을 못하는 것[大驚不語] 730
[언어(言語)] 중풍으로 말을 못하는 증상[中風不語] 751
[언어(言語)] 부인이 몸풀기 전에 말을 못하는 증과 몸푼 뒤에 말을 못하는 증[婦人産前不語産後不語] 600
[언어(言語)] 어린이가 말을 늦게 하는 것[小兒語遲] 682
[언어(言語)] 말을 하게 하는 방법[言語法] 709
[언어(言語)] 치료할 수 없는 증[不治證]/언어 615
[언어(言語)] 침뜸치료[鍼灸法]/언어 640
[진액(津液)] 몸 안에 있는 진액[身中津液] 1020
[진액(津液)] 신은 액을 주관한다[腎主液] 861
[진액(津液)] 맥 보는 법[脈法]/진액 1 747
[진액(津液)] 땀은 습열 때문에 나온다[汗因濕熱] 1186
[진액(津液)] 저절로 나는 땀[自汗] 2290
[진액(津液)] 식은땀[盜汗] 1810
[진액(津液)]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1155
[진액(津液)] 심한(心汗) 988
[진액(津液)] 손발에서 땀이 나는 것[手足汗] 1337
[진액(津液)] 음낭 부위에서 땀이 나는 것[陰汗] 1226
[진액(津液)] 혈한(血汗)/진액 746
[진액(津液)] 황한(黃汗)/진액 690
[진액(津液)] 망양증(亡陽證)/진액 1290
[진액(津液)] 땀을 멈추는 방법[止汗法] 1044
[진액(津液)] 땀이 나지 않는 것[無汗] 664
[진액(津液)] 절한(絶汗) 756
[진액(津液)] 유한(柔汗) 699
[진액(津液)] 땀이 나는 것의 예후가 좋지 못한 증[汗出凶證] 724
[진액(津液)] 꺼릴 것[禁忌]/진액 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