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身形)

몸의 뒷부분[背]에는 3관(三關)이 있다[背有三關]

한닥터 2011.07.12 조회 수 1265 추천 수 0
仙經曰, 背後有三關, 腦後曰玉枕關, 夾脊曰轆轤關, 水火之際曰尾閭關. 皆精氣升降往來之道路也. 若得斗柄之機斡運, 則上下循環如天河之流轉也.
《선경》에, "몸의 뒷면에는 삼관이 있다. 뒷머리를 옥침관(玉枕關)이라 하고 척추 양 옆을 녹로관(轆轤關)이라 하고 수화가 만나는 곳을 미려관(尾閭關)이라 한다. 삼관은 모두 정기(精氣)가 오르내리고 드나드는 도로이다. 만약 북두칠성의 자루가 돌듯이 삼관이 잘 돌아간다면, 정기가 위아래로 순환하는 것은 은하수가 북두칠성을 따라서 도는 것과 같을 것이다"라 하였다.
2
翠虛篇曰, 採之煉之未片餉, 一氣眇眇通三關, 三關來往氣無窮, 一道白脉朝泥丸, 泥丸之上紫金鼎, 鼎中一塊紫金團, 化爲玉漿流入口, 香甛淸爽遍舌端.
《취허편》에, "돋우고 단련한지 얼마 안 되어 하나의 기가 미미하게 삼관을 통한다. 삼관을 통하는 기는 다함이 없으니 한줄기 흰 맥이 이환궁(泥丸宮)에 모인다. 이환궁 위에는 자금정(紫金鼎)이요, 자금정 속에 한 덩이 자금단(紫金團)이 있다. 침으로 변하여 입으로 흘러드니 향긋하고 맑은 기 혀끝에 녹아든다"고 하였다.
3
參同契註曰, 人身氣血, 往來循環于上下, 晝夜不停, 猶江河之水, 東流至于海而不竭, 殊不知名山大川孔穴皆相通也. 水由地中行, 盖循環相往來也. 日月之行亦然.
《참동계》의 주(註)에, "사람의 기혈은 위아래로 왕래하며 밤낮으로 쉬지 않고 돌아간다. 마치 강물이 바다에 닿을 때까지 끊임없이 동쪽으로 흘러도 고갈되지 않는 것과 같다. 고갈되지 않는 이유는 산과 강의 구멍이 모두 서로 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은 땅 속에서 순환하여 흐른다. 해와 달의 운행도 마찬가지다"라 하였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날짜에 따라 인신(人神)이 있는 곳 435
[침구(針灸)] 침 뜸을 놓는 데 좋은 날[鍼灸吉日] 512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하는 날[鍼灸忌日] 523
[침구(針灸)] 자세와 방향을 정하는 법[坐向法] 509
[풀(草部)] 목단(牧丹, 모란뿌리) 414
[풀(草部)] 삼릉(三稜) 323
[풀(草部)] 강황(薑黃) 532
[침구(針灸)] 9가지 침의 적응증[製九鍼法] 610
[침구(針灸)] 침을 만드는 방법[鍊鍼法] 582
[침구(針灸)] 계절에 맞게 침놓는 방법[四時鍼法] 490
[침구(針灸)] 침놓는 깊이를 정하는 방법[鍼刺淺深法] 820
[침구(針灸)] 화침법(火鍼法) 650
[침구(針灸)] 침혈을 잡는 법[點穴法] 638
[침구(針灸)] 치수를 재는 법[量分寸法] 727
[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439
[침구(針灸)] 뜸봉을 만드는 법[作艾炷法] 467
[침구(針灸)] 불을 붙이는 방법[取火法] 444
[침구(針灸)] 뜸뜨는 시간[下火灸時法] 1025
[침구(針灸)] 뜸뜨는 방법[灸法] 722
[침구(針灸)]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463
[침구(針灸)] 뜸자리를 헐게 하는 방법[發灸瘡法] 425
[침구(針灸)] 뜸자리가 몹시 헌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灸瘡法] 505
[침구(針灸)] 몸조리하는 방법[調養法] 415
[침구(針灸)] 침과 뜸치료를 같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灸不可?施] 491
[침구(針灸)] 침과 뜸에 견디지 못하는 것[不耐鍼灸] 399
[침구(針灸)] 침은 반드시 계절과 날씨에 맞추어 놓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用鍼須合天時] 367
[침구(針灸)] 침의 보사법[鍼補瀉法] 2302
[침구(針灸)] 침을 놓을 때 역증과 순증을 가려야 한다[用鍼宜審逆順] 490
[침구(針灸)] 5탈증에는 침으로 사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五奪勿用鍼瀉] 427
[침구(針灸)] 사법(瀉法)만 있고 보법(補法)은 없는 침법[鍼法有瀉無補] 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