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身形)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한닥터 2011.07.12 조회 수 1154 추천 수 0
夫上古聖人之敎下也, 皆謂之虛邪賊風, 避之有時, 恬憺虛無, 眞氣從之, 精神內守, 病安從來. 是以志閑而少慾, 心安而不懼, 形勞而不倦, 氣從以順, 各從其欲, 皆得所願. 故美其食, 任其服, 樂其俗, 高下不相慕, 其民故曰朴. 是以嗜慾不能勞其目, 淫邪不能惑其心, 愚智賢不肖不懼於物, 故合於道. 所以能年皆度百歲而動作不衰者, 以其德全不危也. 《內經》
상고시대의 성인들이 백성들을 가르칠 때 모두 '허사적풍(虛邪賊風)을 때에 맞추어 피하고 편안하게 마음을 비우면 진기(眞氣)가 모이고 정신(精神)을 간직할 수 있으니 병이 어디서 들어오겠는가? '라 하였다. 뜻을 가라앉혀 욕심을 적게 하고 마음을 편안히 하여 두려워하지 않고 몸을 수고롭게 하여 게으르지 않게 하면 기가 그 때문에 순조로워져서 각기 그 하고자 하는 바를 좇아 모두 원하는 바를 얻었다. 그리하여 음식을 맛있게 먹고 옷을 적절하게 입으며 세상을 즐기고 지위가 높건 낮건 서로 부러워하지 않게 되므로, 그 사람들을 소박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욕망이 눈을 힘들게 하지 못하고 음란한 것들이 마음을 현혹하지 못하며, 어리석은 사람이나 지혜로운 사람이나 현명한 사람이나 모자란 사람이나 할 것 없이 외부 환경에 얽매이지 않고 도리에 맞게 산다. 그들이 모두 나이가 100살이 되어도 움직임이 쇠하지 않은 것은 그 덕을 보전하여 위태롭지 않았기 때문이다. 《내경》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날짜에 따라 인신(人神)이 있는 곳 435
[침구(針灸)] 침 뜸을 놓는 데 좋은 날[鍼灸吉日] 512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지 말아야 하는 날[鍼灸忌日] 523
[침구(針灸)] 자세와 방향을 정하는 법[坐向法] 509
[풀(草部)] 목단(牧丹, 모란뿌리) 414
[풀(草部)] 삼릉(三稜) 323
[풀(草部)] 강황(薑黃) 532
[침구(針灸)] 9가지 침의 적응증[製九鍼法] 610
[침구(針灸)] 침을 만드는 방법[鍊鍼法] 582
[침구(針灸)] 계절에 맞게 침놓는 방법[四時鍼法] 490
[침구(針灸)] 침놓는 깊이를 정하는 방법[鍼刺淺深法] 820
[침구(針灸)] 화침법(火鍼法) 650
[침구(針灸)] 침혈을 잡는 법[點穴法] 638
[침구(針灸)] 치수를 재는 법[量分寸法] 727
[침구(針灸)] 뜸쑥을 만드는 법[製艾法] 439
[침구(針灸)] 뜸봉을 만드는 법[作艾炷法] 467
[침구(針灸)] 불을 붙이는 방법[取火法] 444
[침구(針灸)] 뜸뜨는 시간[下火灸時法] 1025
[침구(針灸)] 뜸뜨는 방법[灸法] 722
[침구(針灸)] 뜸의 장수를 결정하는 방법[壯數多少法] 463
[침구(針灸)] 뜸자리를 헐게 하는 방법[發灸瘡法] 425
[침구(針灸)] 뜸자리가 몹시 헌 것을 치료하는 방법[療灸瘡法] 505
[침구(針灸)] 몸조리하는 방법[調養法] 415
[침구(針灸)] 침과 뜸치료를 같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鍼灸不可?施] 491
[침구(針灸)] 침과 뜸에 견디지 못하는 것[不耐鍼灸] 399
[침구(針灸)] 침은 반드시 계절과 날씨에 맞추어 놓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用鍼須合天時] 367
[침구(針灸)] 침의 보사법[鍼補瀉法] 2302
[침구(針灸)] 침을 놓을 때 역증과 순증을 가려야 한다[用鍼宜審逆順] 490
[침구(針灸)] 5탈증에는 침으로 사하지 말아야 한다는 데 대하여[五奪勿用鍼瀉] 427
[침구(針灸)] 사법(瀉法)만 있고 보법(補法)은 없는 침법[鍼法有瀉無補] 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