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身形)

도[道]로 병을 치료한다[以道療病]

한닥터 2011.07.12 조회 수 1436 추천 수 0
臞仙曰, 古之神聖之醫, 能療人之心, 預使不致於有疾. 今之醫者, 惟知療人之疾而不知療人之心. 是猶捨本逐末, 不窮其源而攻其流, 欲求疾愈, 不亦愚乎. 雖一時僥倖而安之, 此則世俗之庸醫, 不足取也. 太白眞人曰, 欲治其疾, 先治其心, 必正其心, 乃資於道, 使病者盡去心中疑慮思想, 一切妄念, 一切不平, 一切人我, 悔悟平生所爲過惡. 便當放下身心, 以我之天而合所事之天, 久之, 遂凝於神, 則自然心君泰寧, 性地和平, 知世間萬事皆是空虛, 終日營爲皆是妄想, 知我身皆是虛幻, 禍福皆是無有, 生死皆是一夢. 慨然領悟, 頓然解釋, 則心地自然淸淨, 疾病自然安痊. 能如是, 則藥未到口, 病已忘矣. 此眞人, 以道治心療病之大法也.
구선이, "옛날의 신성한 의사들은 사람의 마음을 치료할 수 있어서 미리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하였다. 그런데 요즘 의사들은 사람의 질병만 치료할 줄 알고 사람의 마음을 치료할 줄 모른다. 이것은 근본을 버리고 말단을 좇는 것이며, 그 근원을 궁구하지 않고 흐름만을 좇아가면서 질병이 낫기를 바라는 것이니 어리석은 일이다. 비록 한때 요행으로 낫게 할 수는 있지만 세속의 우매한 의사들이나 하는 일이니 취할 것이 못 된다. 태백진인이 '그 질병을 치료하려면 먼저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 먼저 그 마음을 바르게 해야만 도에 의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병자로 하여금 마음속에 있는 의심과 생각들, 모든 망념과 모든 불평, 모든 차별심을 다 없애고 평소 자신이 저질렀던 잘못을 깨닫게 하면, 곧 몸과 마음을 비우고 자기의 세계와 사물의 세계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 상태가 지속되어 마침내 신(神)이 모이게 되면 저절로 마음이 편안하게 되고 성정이 화평하게 된다. 결국 세간의 모든 일이 공허하고 종일토록 한 일이 모두 망상이며 나의 몸이 모두 헛된 환영이고 화복은 실제로 있는 것이 아니며 생사가 한낱 꿈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확실히 알아 한순간에 모든 것이 풀리게 되면 마음이 저절로 깨끗해지고 질병은 저절로 낫게 된다. 이와 같으면 약을 먹기도 전에 질병은 사라진다. 이것이 도(道)를 가지고 마음을 다스려 질병을 치료하는 진인의 큰 법이다"라 하였다.
2
又曰, 至人治於未病之先, 醫家治於已病之後. 治於未病之先者, 曰治心, 曰修養. 治於已病之後者, 曰藥餌, 曰砭焫. 雖治之法有二, 而病之源則一, 未必不由因心而生也.
또 말하기를, "지인은 병이 나기 전에 다스리고 의사는 병이 난 뒤에 다스린다. 병이 나기 전에 다스리는 방법에는 마음을 다스리는 것과 수양하는 것이 있고, 병이 난 뒤에 다스리는 방법에는 약ㆍ침ㆍ뜸이 있다. 비록 치료법은 다르지만 병의 근원은 하나인 것이니, 병이 마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것이 아니라고는 할 수 없다"고 하였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진액(津液)] 기가 모여서 액을 생기게 한다[積氣生液] 704
[진액(津液)] 눈물[泣] 722
[진액(津液)] 콧물[涕] 997
[진액(津液)] 멀건 침[涎] 946
[진액(津液)] 느침[唾] 767
[진액(津液)] 진액을 돌리는 방법[廻津法] 871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진액(津液)] 단방(單方)/진액 776
[진액(津液)] 침뜸치료[鍼灸法]/진액 692
[담음(痰飮)] 담(痰)과 연(涎), 음(飮) 세 가지는 같지 않다[痰涎飮三者不同] 1076
[담음(痰飮)] 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痰飮分淸濁] 893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58
[담음(痰飮)] 8가지 음병(飮病)이 있다[飮病有八] 866
[담음(痰飮)] 유음(留飮) 1447
[담음(痰飮)] 벽음(癖飮) 961
[담음(痰飮)] 담음(痰飮) 1211
[담음(痰飮)] 일음(溢飮) 986
[담음(痰飮)] 현음(懸飮) 1112
[담음(痰飮)] 지음(支飮) 1094
[담음(痰飮)] 복음(伏飮) 1028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70
[담음(痰飮)] 풍담(風痰) 2053
[담음(痰飮)] 한담(寒痰) 956
[담음(痰飮)] 습담(濕痰) 1428
[담음(痰飮)] 열담(熱痰) 2224
[담음(痰飮)] 울담(鬱痰) 1453
[담음(痰飮)] 기담(氣痰) 1528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3
[담음(痰飮)] 주담(酒痰) 1106
[담음(痰飮)] 경담(驚痰) 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