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身形)

사람의 마음은 천기와 부합된다[人心合天機]

한닥터 2011.07.12 조회 수 1374 추천 수 0
還丹論曰, 道以心爲用, 能知運用者, 以道觀心, 心卽道也. 以心貫道, 道卽心也. 是心也, 非人心之心, 乃天心之心也. 天之居於北極, 爲造化之樞機者, 此心也. 故斗杓一運, 則四時應節, 五行順序, 寒暑中度, 陰陽得宜矣.
《환단론》에, "도는 마음을 용(用)으로 삼는다. 마음을 잘 쓸 줄 아는 사람은 도(道)로 마음을 보니 마음이 곧 도이고, 마음으로 도를 관통하니 도가 곧 마음이다. 이 마음은 인심(人心)이 아니라 천심(天心)이니, 하늘의 북극에 자리잡고서 조화의 중심이 되는 것이 바로 이 마음이다. 그러므로 북두칠성이 돌아가면 계절이 바뀌고 오행이 지나가며 더위와 추위가 오가고 음양이 자리잡게 되는 것이다"라 하였다.
2
槖籥歌曰, 天上日頭地下轉, 海底嬋娟天上飛, 乾坤日月本不運, 皆因斗柄轉其機, 人心若與天心合, 顚倒陰陽只片時.
〈탁약가〉에, "하늘의 해는 땅 아래로 굴러가고 바다 속 고운 달은 하늘 위로 날아간다. 건곤과 일월은 본래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모두 북두칠성이 돌아가기 때문에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인심이 천심과 하나가 된다면 그 순간에 세상이 뒤바뀌게 된다"고 하였다.
3
仙經註曰, 璇璣斗也. 天以斗爲機, 人以心爲機, 心運於身中, 猶斗運於天中也.
《선경》의 주(註)에, "선기(璇璣)는 북두칠성이다. 하늘에서는 북두칠성이 중심이 되고 사람에서는 마음이 중심이 된다. 마음이 몸 속에서 움직이는 것은 북두칠성이 하늘에서 움직이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4
又曰, 天機, 謂半夜子陽初動之時也. 天機將至, 人能動吾之機以應之, 則天人合發, 內外相符, 結而爲丹矣.
또, "천기(天機)는 한밤중 자시(子時)에 양이 처음 움직이는 때를 가리킨다. 천기가 되려고 할 때 사람이 자신의 중심을 움직여 하늘에 응하면, 하늘과 사람이 하나되어 일어나 안과 밖이 서로 맞물리며 단(丹)이 만들어진다"고 하였다.
5
上陽子曰, 人有眞一之氣, 降于丹田中, 則一陽又復矣. 人欲知始陽初迴之候, 當以煖氣爲之信也.
상양자가, "사람은 참되고 한결같은 기를 가지고 있는데 단전 속으로 끌어내리면 일양(一陽)이 다시 돌아온다. 양이 처음으로 돌아오는 조짐은 몸에 따뜻한 기운이 도는 것으로 알 수 있다"고 하였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담음(痰飮)] 맥 보는 법[脈法]/담음 764
[담음(痰飮)] 담음병 때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痰飮外證] 1683
[담음(痰飮)] 담음으로 생기는 여러 가지 병[痰飮諸病] 994
[담음(痰飮)] 가래의 빛을 갈라본 것[辨痰色] 858
[담음(痰飮)] 담음유주증[痰飮流注證] 1115
[담음(痰飮)] 담병에는 사수증 같은 것이 있다는 것[痰病有似邪崇] 837
[담음(痰飮)] 담궐(痰厥) 1237
[담음(痰飮)] 담괴(痰塊) 1314
[담음(痰飮)] 가래침을 자주 뱉는 것[喜唾痰] 2020
[담음(痰飮)] 담이 뭉친 것[痰結] 700
[담음(痰飮)] 담병으로는 갑자기 죽지 않는다[痰病不卒死] 569
[담음(痰飮)] 담병 때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痰病難治證] 581
[담음(痰飮)] 담음을 토하게 하는 방법[痰飮吐法] 824
[담음(痰飮)]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2721
[담음(痰飮)] 담음에 두루 쓰는 약[痰飮通治藥] 1760
[담음(痰飮)] 단방(單方)/담음 734
[담음(痰飮)] 침뜸치료[鍼灸法]/담음 726
[오장육부(五臟六腑)] 의사는 반드시 5장 6부를 알아야 한다[醫當識五臟六腑] 867
[오장육부(五臟六腑)] 장부를 음과 양으로 가른다[臟腑陰陽] 760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는 작용이 다르다[臟腑異用] 771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는 짝이 있다[臟腑有合] 726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은 7규와 통한다[五臟通七竅] 690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에 속한 기관이 있다[五臟有官] 648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이 작고 큰 것이 있다[五臟有小大] 642
[오장육부(五臟六腑)] 장에는 또한 9가지가 있다[贓又有九] 616
[오장육부(五臟六腑)] 부(腑)에는 6가지가 있다[腑又有六] 1047
[오장육부(五臟六腑)] 창자의 길이와 음식물을 받아들일 수 있는 양[腸胃之長水穀之數] 806
[오장육부(五臟六腑)] 사기에 5장이 상한다는 것[五臟中邪] 652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의 정경에 절로 병이 생기는 것[五臟正經自病] 751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의 병을 맥으로 가른다는 것[脈辨臟腑] 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