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精)

음식물로 정을 보한다[補精以味]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1180 추천 수 0

 

補精以味

 

 

內經曰, 精生於穀. 又曰, 精不足者, 補之以味. 然醴郁之味, 不能生精, 惟恬憺之味, 乃能補精. 洪範論味而曰, 稼穡作甘. 世間之物, 惟五穀得味之正, 但能淡食穀味, 最能養精. 凡煮粥飯, 而中有厚汁滾作一團者, 此米之精液所聚也. 食之最能生精, 試之有效. 《眞詮》
《내경》에, "정은 곡식에서 생긴다"고 하였다. 또, "정이 부족하면 음식으로 보한다"고 하였다. 발효시켜 향기가 진한 음식은 정을 생기게 할 수 없고 담담한 음식만이 정을 보할 수 있다. 〈홍범〉에서 맛을 논하며 "곡식에서 단맛이 나온다"고 하였다. 이 세상의 음식 중에 오직 오곡만이 참다운 맛을 가졌기 때문에 곡식을 담담하게 먹는 것이 정을 가장 잘 보양하는 방법이다. 죽이나 밥을 끓인 후 진한 즙이 가운데로 흘러 모이는데, 쌀의 정액이 모이는 것이다. 이것이 정을 가장 잘 생겨나게 하는데 시험해보면 효과가 있다. 《진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목구멍(咽喉)] 매핵기(梅核氣) 2253
[위부(胃腑)] 위병의 증상[胃病證] 2283
[배(腹)] 배 아픈 부위가 다르다[腹痛有部分] 2285
[화(火)] 조열(潮熱) 2288
[진액(津液)] 저절로 나는 땀[自汗] 2290
[침구(針灸)] 침의 보사법[鍼補瀉法] 2297
[혈(血)]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2318
[내상(內傷)] 조잡증(?雜證) 2346
[신(神)] 정충증[怔忡] 2422
[오줌(小便)] 오줌을 참지 못하는 것[小便不禁] 2465
[소갈(消渴)] 소갈에는 3가지가 있다[消渴有三] 2470
[허로(虛勞)] 허로증을 두루 치료하는 약[虛勞通治藥] 2480
[머리(頭)] 두풍증(頭風證) 2530
[신(神)] 경계증[驚悸] 2539
[신(神)] 전간(癲癎)/신 2552
[황달(黃疸)] 흑달은 치료하기 어렵다[黑疸難治] 2567
[위부(胃腑)] 위병을 치료하는 법[胃病治法] 2577
[허로(虛勞)] 음과 양이 다 허한 데 쓰는 약[陰陽俱虛用藥] 1 2580
[화(火)] 간열(肝熱) 2590
[정(精)] 정액은 잘 간직해야 한다[精宜秘密] 2605
[포(胞)]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1 2606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09
[손(手)] 생손앓이[代指] 2623
[정(精)] 성욕을 조절하여 정액을 간직한다[節慾儲精] 2628
[담음(痰飮)]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2714
[부종(浮腫)]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2731
[제창(諸瘡)]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2740
[제창(諸瘡)] 나력(??) 3 2813
[목구멍(咽喉)]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2883
[배(腹)] 배가 아프고 구토하면서 설사하는 것[腹痛嘔泄] 2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