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精)

음식물로 정을 보한다[補精以味]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1180 추천 수 0

 

補精以味

 

 

內經曰, 精生於穀. 又曰, 精不足者, 補之以味. 然醴郁之味, 不能生精, 惟恬憺之味, 乃能補精. 洪範論味而曰, 稼穡作甘. 世間之物, 惟五穀得味之正, 但能淡食穀味, 最能養精. 凡煮粥飯, 而中有厚汁滾作一團者, 此米之精液所聚也. 食之最能生精, 試之有效. 《眞詮》
《내경》에, "정은 곡식에서 생긴다"고 하였다. 또, "정이 부족하면 음식으로 보한다"고 하였다. 발효시켜 향기가 진한 음식은 정을 생기게 할 수 없고 담담한 음식만이 정을 보할 수 있다. 〈홍범〉에서 맛을 논하며 "곡식에서 단맛이 나온다"고 하였다. 이 세상의 음식 중에 오직 오곡만이 참다운 맛을 가졌기 때문에 곡식을 담담하게 먹는 것이 정을 가장 잘 보양하는 방법이다. 죽이나 밥을 끓인 후 진한 즙이 가운데로 흘러 모이는데, 쌀의 정액이 모이는 것이다. 이것이 정을 가장 잘 생겨나게 하는데 시험해보면 효과가 있다. 《진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돌[石部]] 망사(?砂, 노사) 40
[돌[石部]] 비상(砒霜) 41
[돌[石部]] 대자석(代?石) 54
[돌[石部]] 불회목(不灰木) 35
[돌[石部]] 석회(石灰) 37
[돌[石部]] 석연(石燕) 28
[돌[石部]] 석해(石蟹) 33
[돌[石部]] 노감석(爐甘石) 66
[돌[石部]] 아관석(鵝管石) 43
[돌[石部]] 사함석(蛇含石) 33
[돌[石部]] 수포석(水泡石, 속돌) 35
[돌[石部]] 임석(淋石) 33
[돌[石部]] 무명이(無名異, 무명석) 64
[돌[石部]] 오고미(烏古尾, 오고와) 46
[돌[石部]] 백자설(白磁屑, 사기 부스러기) 38
[돌[石部]] 고전(古? , 오랜 벽돌) 34
[돌[石部]] 백맥반석(白麥飯石) 84
[돌[石部]] 수중석자(水中石子, 물 속의 자갈) 36
[금속[金部]] 금설(金屑, 금가루) 53
[금속[金部]] 은설(銀屑, 은가루) 55
[금속[金部]] 수은(水銀) 124
[금속[金部]] 경분(輕粉) 58
[금속[金部]] 은주(銀? ) 117
[금속[金部]] 영사(靈砂) 90
[금속[金部]] 황단(黃丹) 55
[금속[金部]] 연(鉛, 납) 연상(鉛霜) 연분(鉛粉) 연회(鉛灰) 88
[금속[金部]] 석(錫, 주석) 47
[금속[金部]] 동청(銅靑, 구리에 녹이 슨 것) 57
[금속[金部]] 동경비(銅鏡鼻) 32
[금속[金部]] 고문전(古文錢)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