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精)

음식물로 정을 보한다[補精以味]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1180 추천 수 0

 

補精以味

 

 

內經曰, 精生於穀. 又曰, 精不足者, 補之以味. 然醴郁之味, 不能生精, 惟恬憺之味, 乃能補精. 洪範論味而曰, 稼穡作甘. 世間之物, 惟五穀得味之正, 但能淡食穀味, 最能養精. 凡煮粥飯, 而中有厚汁滾作一團者, 此米之精液所聚也. 食之最能生精, 試之有效. 《眞詮》
《내경》에, "정은 곡식에서 생긴다"고 하였다. 또, "정이 부족하면 음식으로 보한다"고 하였다. 발효시켜 향기가 진한 음식은 정을 생기게 할 수 없고 담담한 음식만이 정을 보할 수 있다. 〈홍범〉에서 맛을 논하며 "곡식에서 단맛이 나온다"고 하였다. 이 세상의 음식 중에 오직 오곡만이 참다운 맛을 가졌기 때문에 곡식을 담담하게 먹는 것이 정을 가장 잘 보양하는 방법이다. 죽이나 밥을 끓인 후 진한 즙이 가운데로 흘러 모이는데, 쌀의 정액이 모이는 것이다. 이것이 정을 가장 잘 생겨나게 하는데 시험해보면 효과가 있다. 《진전》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대극(大戟, 버들옻) 25
[구슬[玉部]] 파려(?? ) 26
[풀(草部)] 귀구(鬼臼) 27
[나무[木部]] 필징가(?澄茄) 27
[나무[木部]] 정공등(丁公藤) 27
[돌[石部]] 염초(焰硝) 27
[돌[石部]] 붕사(鵬砂) 27
[풀(草部)] 사간(射干, 범부채) 28
[풀(草部)] 백부자(白附子, 노랑돌쩌귀) 28
[풀(草部)] 산자고(山茨菰) 28
[돌[石部]] 석연(石燕) 28
[풀(草部)] 골쇄보(骨碎補) 29
[나무[木部]] 익지자(益智子, 익지인) 29
[풀(草部)] 비마자(?麻子, 아주까리) 30
[풀(草部)] 곡정초(穀精草) 30
[풀(草部)] 선복화(旋復花) 31
[나무[木部]] 화목피(樺木皮) 31
[구슬[玉部]] 산호(珊瑚) 31
[풀(草部)] 호로파(胡蘆巴) 32
[풀(草部)] 작엽하초(昨葉荷草) 32
[나무[木部]] 소방목(蘇方木) 32
[돌[石部]] 양기석(陽起石) 32
[금속[金部]] 동경비(銅鏡鼻) 32
[나무[木部]] 석남엽(石南葉, 만병초잎) 33
[돌[石部]] 석해(石蟹) 33
[돌[石部]] 사함석(蛇含石) 33
[돌[石部]] 임석(淋石) 33
[금속[金部]] 고문전(古文錢) 33
[풀(草部)] 사매(蛇?, 뱀딸기) 34
[돌[石部]] 고전(古? , 오랜 벽돌)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