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精)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爲遺精]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1448 추천 수 0

 

宜服加味二陳湯, 及樗根白皮丸. 《醫鑑》
가미이진탕이나 저근백피환을 복용해야 한다. 《의감》

 

 加味二陳湯
 가미이진탕

 

半夏(薑製)ㆍ赤茯苓(鹽水炒)ㆍ梔子(炒黑) 各一錢半, 陳皮ㆍ白朮ㆍ䓀莄ㆍ升麻(酒炒)ㆍ柴胡(酒炒)ㆍ甘草 各一錢, 石菖蒲 七分, 黃柏ㆍ知母 各三分. 右剉, 作一服, 薑 三片, 水煎, 空心服.
반하(생강즙에 담갔다 말린 것)ㆍ적복령(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ㆍ치자(검게 볶은 것) 각 1.5돈, 진피ㆍ백출ㆍ길경ㆍ승마(술에 축여 볶은 것)ㆍ시호(술에 축여 볶은 것)ㆍ감초 각 1돈, 석창포 7푼, 황백ㆍ지모 각 3푼. 이 약들을 썰어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을 넣고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樗根白皮丸
 저근백피환

 

治濕熱傷脾, 遺精. 韭子(炒) 一兩, 白芍藥(炒) 五錢, 黃柏ㆍ知母(幷鹽水炒)ㆍ牡蠣(煆) 各三錢, 白朮ㆍ枳實ㆍ茯苓ㆍ柴胡ㆍ升麻 各二錢. 右爲末, 神麴糊和丸梧子大, 空心, 鹽湯下五十丸.
습열이 비(脾)를 상하여 생긴 유정을 치료한다. 구자(볶은 것) 1냥, 백작약(볶은 것) 5돈, 황백과 지모(함께 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ㆍ모려(달군 것) 각 3돈, 백출ㆍ지실ㆍ복령ㆍ시호ㆍ승마 각 2돈. 이 약들을 가루내어 신국으로 쑨 풀로 반죽하여 오자대로 환을 만든다. 끓인 소금물로 50알씩 빈속에 먹는다.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매핵기 by 한닥터
  2. 동의보감 토하기를 치료하는 방법[嘔吐治法]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식적으로 배가 아픈 것[食積腹痛] by 한닥터
  4. 동의보감 담음으로 생긴 위완통[痰飮胃脘痛]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식적으로 생긴 위완통[食積胃脘痛]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매핵기(梅核氣) by 한닥터
  7. 동의보감 담궐(痰厥) by 한닥터
  8. 동의보감 기담(氣痰) by 한닥터
  9. 태암 처방집 胃炎(위염) 神經性(신경성) 加味二陳湯(가미이진탕) by 한닥터
  10. 태암 처방집 惡心乾嘔(오심건구) 加味二陳湯(가미이진탕) by 한닥터
  11. 태암 처방집 加味二陳湯(가미이진탕) by 한닥터
  12. 태암 처방집 胃酸過多(위산과다) 加味二陳湯(가미이진탕) by 한닥터
  13.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by 한닥터
  14.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by 한닥터
  15.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by 한닥터
  16.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by 한닥터
  17. 동의보감 처방집 저근백피환(樗根白皮丸) by 한닥터 *1
  18. 동의보감 처방집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by 한닥터
  19. 임상 경험방 수족혈비 - 강경희 - 가미이진탕 by 한닥터
  20. 임상 경험방 우편두통 - 허인무 - 가미이진탕 by 한닥터
  21. 임상 경험방 좌편두통 - 허인무 - 가미이진탕 by 한닥터
  22. 방약합편 53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by 한닥터

1개의 댓글

Profile
웅이아빠
2016.09.01

저근백피환에 저근백피가 없다 ㅎ

제목 조회 수
[전음(前陰)] 음정(陰挺)과 음탈(陰脫) 1419
[얼굴(面)] 탑시종(搭?腫) 1421
[한(寒)] 소음병의 형태와 증상과 쓰는 약[少陰形證用藥] 1421
[신형(身形)] 노인의 병을 치료하는 법[老人治病] 1422
[눈(眼)] 투침(偸鍼) 1 1424
[혈(血)] 코피[?血] 1428
[담음(痰飮)] 습담(濕痰) 1428
[방광부(膀胱腑)] 방광병을 치료하는 법[膀胱病治法] 1428
[머리(頭)] 담훈(痰暈) 1431
[신형(身形)] 사람의 몸은 하나의 나라와 같다[人身猶一國] 1433
[목소리(聲音)] 잡병으로 목이 쉰 것[因雜病失音] 1433
[내상(內傷)] 탄산과 토산[呑酸吐酸] 1434
[폐장(肺臟)]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1 1435
[신형(身形)] 도[道]로 병을 치료한다[以道療病] 1436
[허리(腰)] 풍으로 허리가 아픈 것[風腰痛] 1437
[벌레(蟲部)] 반묘(斑猫) 1439
[신형(身形)] 선현들의 격언[先賢格言] 1440
[기침(咳嗽)] 오랜 기침[久嗽] 1441
[제창(諸瘡)] 결핵(結核, 멍울) 1441
[허로(虛勞)] 간이 허한 데 쓰는 약[肝虛藥] 1442
[비장(脾臟)] 비병의 증상[脾病證] 1443
[머리털(毛髮)]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鬚髮黃落] 1445
[부인(婦人)] 유산[半産] 1445
[담음(痰飮)] 유음(留飮) 1447
[머리(頭)] 풍한두통(風寒頭痛) 1447
[옹저(癰疽)] 옹저의 5발증[癰疽五發證] 1447
[정(精)] 습담(濕痰)이 스며들어 유정(遺精)이 생긴다[濕痰?爲遺精] 1 1448
[오줌(小便)] 노림(勞淋) 1448
[한(寒)] 상한표증(傷寒表證) 1448
[화(火)] 화에는 군화와 상화의 2가지가 있다[火有君相之二] 1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