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精)

침구법[鍼灸法]/정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864 추천 수 0
遺精夢泄, 心兪ㆍ白環兪ㆍ膏肓兪ㆍ腎兪ㆍ中極ㆍ關元等穴, 或鍼, 或灸. 《綱目》
유정이나 몽설에는 심수ㆍ백환수ㆍ고황수ㆍ신수ㆍ중극ㆍ관원의 혈에 자침하거나 뜸을 뜬다. 《강목》
2
失精精溢, 中極ㆍ大赫ㆍ然谷ㆍ太衝等穴, 皆主之. 《綱目》
정(精)이 새어 나갈 때는 중극ㆍ대혁ㆍ연곡ㆍ태충 등의 혈을 주로 쓴다. 《강목》
3
虛勞失精, 宜取大赫ㆍ中封. 《綱目》
허로로 실정이 있을 때는 대혁ㆍ중봉을 쓴다. 《강목》
4
遺精, 五藏虛竭, 灸曲骨端一穴, 四七壯. 穴在前陰橫骨中央, 曲如月中央是也. 《綱目》
유정으로 오장이 극도로 허해지면 곡골에 뜸을 28장 뜬다. 이 혈은 전음 부위의 횡골 가운데에 초승달처럼 굽은 곳이다. 《강목》
5
便濁, 失精, 取腎兪. 夢泄精, 取三陰交, 各灸二七壯神效. 《得效》
소변이 뿌옇고 정이 새어 나갈 때는 신수를 쓴다. 꿈을 꾸면서 정이 새는 때에는 삼음교 양쪽에 각각 14장씩 뜸을 뜨면 신효하다. 《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의 병증은 다르다[臟腑異證] 682
[오장육부(五臟六腑)] 장의 병은 치료하기 어렵고 부의 병은 쉽다[臟腑病治有難易] 700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 6부의 상호관계[臟腑相關] 1615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병이 경해지거나 중해지는 것[五臟病間甚] 634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의 기가 죽는 시기[五臟死期] 648
[오장육부(五臟六腑)] 장부의 기운이 끊어진 증후[臟腑氣絶候] 691
[오장육부(五臟六腑)] 단방(單方)/5장6부 832
[간장(肝臟)] 간장의 형태[肝形象] 814
[간장(肝臟)] 간의 위치[肝部位] 1053
[간장(肝臟)] 간이 주관하는 날짜[肝主時日] 634
[간장(肝臟)] 간에 속한 것들[肝屬物類] 1184
[간장(肝臟)] 간이 크고 작은 것[肝臟大小] 736
[간장(肝臟)] 간병의 증상[肝病證] 1504
[간장(肝臟)] 간병의 허증과 실증[肝病虛實] 1190
[간장(肝臟)] 간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肝病間甚] 876
[간장(肝臟)] 간병을 치료하는 법[肝病治法] 1852
[간장(肝臟)] 간기가 끊어진 증후[肝絶候] 751
[간장(肝臟)] 간장을 수양하는 법[肝臟修養法] 825
[간장(肝臟)] 간장에 대한 도인법[肝臟導引法] 1074
[간장(肝臟)] 단방(單方)/간장 932
[심장(心臟)] 심장의 형태[心形象] 805
[심장(心臟)] 심장의 위치[心部位] 1335
[심장(心臟)] 심이 주관하는 날짜[心主時日] 608
[심장(心臟)] 심에 속한 것들[心屬物類] 757
[심장(心臟)] 심장이 크고 작은 것[心臟大小] 2098
[심장(心臟)] 심이 상한 증상[心傷證] 908
[심장(心臟)] 심병의 증상[心病證] 1343
[심장(心臟)] 심병의 허증과 실증[心病虛實] 1703
[심장(心臟)] 심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心病間甚] 822
[심장(心臟)] 수소음은 수혈이 없다[手少陰無輸] 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