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精)

침구법[鍼灸法]/정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864 추천 수 0
遺精夢泄, 心兪ㆍ白環兪ㆍ膏肓兪ㆍ腎兪ㆍ中極ㆍ關元等穴, 或鍼, 或灸. 《綱目》
유정이나 몽설에는 심수ㆍ백환수ㆍ고황수ㆍ신수ㆍ중극ㆍ관원의 혈에 자침하거나 뜸을 뜬다. 《강목》
2
失精精溢, 中極ㆍ大赫ㆍ然谷ㆍ太衝等穴, 皆主之. 《綱目》
정(精)이 새어 나갈 때는 중극ㆍ대혁ㆍ연곡ㆍ태충 등의 혈을 주로 쓴다. 《강목》
3
虛勞失精, 宜取大赫ㆍ中封. 《綱目》
허로로 실정이 있을 때는 대혁ㆍ중봉을 쓴다. 《강목》
4
遺精, 五藏虛竭, 灸曲骨端一穴, 四七壯. 穴在前陰橫骨中央, 曲如月中央是也. 《綱目》
유정으로 오장이 극도로 허해지면 곡골에 뜸을 28장 뜬다. 이 혈은 전음 부위의 횡골 가운데에 초승달처럼 굽은 곳이다. 《강목》
5
便濁, 失精, 取腎兪. 夢泄精, 取三陰交, 各灸二七壯神效. 《得效》
소변이 뿌옇고 정이 새어 나갈 때는 신수를 쓴다. 꿈을 꾸면서 정이 새는 때에는 삼음교 양쪽에 각각 14장씩 뜸을 뜨면 신효하다. 《득효》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돌[石部]] 망사(?砂, 노사) 40
[돌[石部]] 비상(砒霜) 41
[돌[石部]] 대자석(代?石) 54
[돌[石部]] 불회목(不灰木) 35
[돌[石部]] 석회(石灰) 37
[돌[石部]] 석연(石燕) 28
[돌[石部]] 석해(石蟹) 33
[돌[石部]] 노감석(爐甘石) 66
[돌[石部]] 아관석(鵝管石) 43
[돌[石部]] 사함석(蛇含石) 33
[돌[石部]] 수포석(水泡石, 속돌) 35
[돌[石部]] 임석(淋石) 33
[돌[石部]] 무명이(無名異, 무명석) 64
[돌[石部]] 오고미(烏古尾, 오고와) 46
[돌[石部]] 백자설(白磁屑, 사기 부스러기) 38
[돌[石部]] 고전(古? , 오랜 벽돌) 34
[돌[石部]] 백맥반석(白麥飯石) 84
[돌[石部]] 수중석자(水中石子, 물 속의 자갈) 36
[금속[金部]] 금설(金屑, 금가루) 53
[금속[金部]] 은설(銀屑, 은가루) 55
[금속[金部]] 수은(水銀) 124
[금속[金部]] 경분(輕粉) 58
[금속[金部]] 은주(銀? ) 117
[금속[金部]] 영사(靈砂) 90
[금속[金部]] 황단(黃丹) 55
[금속[金部]] 연(鉛, 납) 연상(鉛霜) 연분(鉛粉) 연회(鉛灰) 88
[금속[金部]] 석(錫, 주석) 47
[금속[金部]] 동청(銅靑, 구리에 녹이 슨 것) 57
[금속[金部]] 동경비(銅鏡鼻) 32
[금속[金部]] 고문전(古文錢)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