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氣)

기(氣)는 음식물[穀]에 의해 생긴다[氣生於穀]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1170 추천 수 0

氣生於穀 靈樞曰人受氣於穀穀入於胃以傳與肺五藏六府皆以受氣其淸者爲榮其濁者爲衛榮在脈中衛在脈外營周不休五十度而復大會陰陽相貫如環無端 又曰上焦開發宣五穀味熏膚充身澤毛若霧露之漑是謂氣 正理曰日啖飮食之精熟者益氣此氣生於穀故從氣從米人身之中全具天地陰陽造化之氣得勤而用之人年二十而氣壯節慾小勞則氣長而緩多慾勞倦則氣少而短氣少則身弱身弱則病生病生則命危矣


()는 음식물[]에 의해 생긴다[氣生於穀


○ 『영추에는 "사람은 음식물에서 기를 받는다. 음식물이 위에 들어온 것을 폐에 전해 주면 56부가 모두 기를 받게 된다. 그의[이중] 맑은 것은 영()이 되고 그의[이중] 흐린 것은 위()가 된다. 영은 맥 속에 있고 위는 맥 밖에 있다. 영이 쉬지 않고 50번을 돈 다음 다시 처음 돌기 시작한 데서 위와 만나게 된다. 이렇게 음양이 서로 관통되어 하나의 고리와 같이 끝이 없다"고 씌어 있다. 또한 "상초가 작용하여 5곡의 기를 고루 퍼져 나가게 하며 살갗을 덥게 하고 몸을 충실히 하며 털을 윤기나게 하는 것이 마치 안개와 이슬이 축여 주는 것과 같다. 이것을 기()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 『정리에는 "매일 먹는 음식의 영양분은 기를 보한다. 이 기가 곡식에서 생기기 때문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기(氣)] 기울(氣鬱)/기 1976
[오줌(小便)] 적탁과 백탁[赤白濁] 1985
[화(火)] 심열(心熱) 1991
[내상(內傷)] 비위가 상하면 음식생각도 없고 입맛도 없다[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1992
[내상(內傷)]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1994
[채소(菜部)] 대산(大蒜, 마늘) 2000
[화(火)] 신열(腎熱) 2006
[습(濕)] 한습(寒濕) 2013
[담음(痰飮)] 가래침을 자주 뱉는 것[喜唾痰] 2018
[신형(身形)] 형체와 기의 시초[形氣之始] 2053
[담음(痰飮)] 풍담(風痰) 2053
[습(濕)] 습열(濕熱) 2053
[소갈(消渴)] 소갈을 두루 치료하는 약[消渴通治藥] 2056
[정(精)]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2070
[기(氣)] 기로 생긴 통증[氣痛] 2072
[심장(心臟)] 심장이 크고 작은 것[心臟大小] 2092
[적취(積聚)] 적취를 치료하는 방법[積聚治法] 2092
[신형(身形)] 옛날에 진인(眞人), 지인(至人), 성인(聖人), 현인(賢人)이 있었다 2094
[신형(身形)] 병들지 않게 하며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하는 약[養性延年藥餌] 2106
[내상(內傷)] 내상과 외상의 감별[辨內外傷證] 2115
[옹저(癰疽)] 부골저(附骨疽) 2115
[꿈(夢)] 허번(虛煩)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虛煩不睡] 2142
[후음(後陰)] 장풍(腸風)과 장독(臟毒) 2145
[신(神)] 전광(癲狂) 2150
[귀(耳)] 귀울이[耳鳴] 2154
[온역(瘟疫)] 온역을 치료하는 방법[瘟疫治法] 2154
[신형(身形)] 정기신(精氣神)의 보양(保養)[保養精氣神] 2161
[발(足)] 각기병(脚氣病)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2164
[신장(腎臟)] 신병을 치료하는 방법[腎病治法] 2220
[담음(痰飮)] 열담(熱痰) 2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