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氣)

기(氣)는 음식물[穀]에 의해 생긴다[氣生於穀]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1170 추천 수 0

氣生於穀 靈樞曰人受氣於穀穀入於胃以傳與肺五藏六府皆以受氣其淸者爲榮其濁者爲衛榮在脈中衛在脈外營周不休五十度而復大會陰陽相貫如環無端 又曰上焦開發宣五穀味熏膚充身澤毛若霧露之漑是謂氣 正理曰日啖飮食之精熟者益氣此氣生於穀故從氣從米人身之中全具天地陰陽造化之氣得勤而用之人年二十而氣壯節慾小勞則氣長而緩多慾勞倦則氣少而短氣少則身弱身弱則病生病生則命危矣


()는 음식물[]에 의해 생긴다[氣生於穀


○ 『영추에는 "사람은 음식물에서 기를 받는다. 음식물이 위에 들어온 것을 폐에 전해 주면 56부가 모두 기를 받게 된다. 그의[이중] 맑은 것은 영()이 되고 그의[이중] 흐린 것은 위()가 된다. 영은 맥 속에 있고 위는 맥 밖에 있다. 영이 쉬지 않고 50번을 돈 다음 다시 처음 돌기 시작한 데서 위와 만나게 된다. 이렇게 음양이 서로 관통되어 하나의 고리와 같이 끝이 없다"고 씌어 있다. 또한 "상초가 작용하여 5곡의 기를 고루 퍼져 나가게 하며 살갗을 덥게 하고 몸을 충실히 하며 털을 윤기나게 하는 것이 마치 안개와 이슬이 축여 주는 것과 같다. 이것을 기()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 『정리에는 "매일 먹는 음식의 영양분은 기를 보한다. 이 기가 곡식에서 생기기 때문에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혈(血)] 피가 나오는 데 약을 쓰는 방법[治血藥法] 1178
[기침(咳嗽)] 풍한천(風寒喘) 1177
[혈(血)] 음혈(陰血)은 음식물[水穀]에서 생긴다[陰血生於水穀] 1174
[기침(咳嗽)] 화천(火喘) 1174
[서(暑)] 무더운 여름에는 기(氣)를 보해야 한다[夏暑宜補氣] 1172
[기(氣)] 기(氣)는 음식물[穀]에 의해 생긴다[氣生於穀] 1170
[담음(痰飮)] 10가지 담병(痰病)이 있다[痰病有十] 1170
[습(濕)] 화와 열은 습을 생기게 한다[火熱生濕] 1170
[곽란(?亂)] 건곽란을 치료하는 방법[乾?亂治法] 1169
[적취(積聚)] 기울(氣鬱) 1 1166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포(胞)] 적백대하(赤白帶下) 1163
[가슴(胸)] 계심통(悸心痛) 1163
[신형(身形)] 배꼽을 단련하는 법[煉臍法] 1162
[오줌(小便)] 늙은이와 허약한 사람이 오줌을 잘 누지 못하는 것[老虛人癃閉] 1162
[입과 혀(口舌)] 입맛이 쓴 것[口苦] 1162
[꿈(夢)] 정신이 얼떨떨하고 잠이 많은 것[昏沈多睡] 1161
[대변(大便)] 습설(濕泄) 1161
[머리(頭)] 풍훈(風暈) 1160
[귀(耳)] 귀가 먹은 것[耳聾] 1159
[옹저(癰疽)] 옹저 때 내탁하는 방법[癰疽內托法] 1159
[담음(痰飮)] 담(痰)에 대한 왕은군의 이론[王隱君痰論] 1158
[충(蟲)] 촌백충(寸白蟲) 1158
[한(寒)] 양명병의 형태와 증상에 쓰는 약[陽明形證用藥] 1158
[전음(前陰)] 한산에 쓰는 약[寒疝藥] 1157
[진액(津液)]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1155
[대변(大便)] 활설(滑泄) 1155
[손(手)]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四肢不用] 1155
[신형(身形)] 상고시대 사람들이 소박한 데 대하여[論上古天眞] 1154
[채소(菜部)] 길경(桔梗, 도라지) 1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