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氣)

폐는 기를 주관한다[肺主氣]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1067 추천 수 0

肺主氣 內經曰肺主氣又曰諸氣者皆屬於肺註曰肺有六葉兩耳葉中有二十四孔行列分布陰陽淸濁之氣 又曰肺藏氣氣有餘則喘咳上氣不足則息利少氣 靈樞曰?中爲氣之海(?中者肺室也.)有餘則胸面俱赤不足則少氣力不多言


폐는 기를 주관한다[肺主氣]

○ 『내경에는 "()는 기()를 주관한다. 또한 모든 기는 폐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폐에는 6(六葉)과 두 귀로 되어 있으며 엽 속에 24개의 구멍이 줄지어 있어 음기(陰氣), 양기(陽氣), 청기(淸氣), 탁기(濁氣)가 퍼져 있다"고 씌어 있다. 또한 "폐는 기를 간직하는데 기가 지나치게 많으면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기가 부족하면 숨을 잘 쉬나 기운이 적다"고 씌어 있다. ○ 『영추에는 "단중(?中)은 기가 모이는 곳이다(단중은 폐의 방과 같다). 기가 지나치게 많으면 가슴과 얼굴이 다 벌겋고 기가 부족하면 기력이 적고 말을 많이 하지 못한다"고 씌어 있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오줌(小便)] 적탁과 백탁[赤白濁] 1987
[화(火)] 심열(心熱) 1993
[내상(內傷)] 비위가 상하면 음식생각도 없고 입맛도 없다[內傷脾胃則不思食不嗜食] 1993
[내상(內傷)] 식상 때 소화시키는 약[食傷消導之劑] 1996
[채소(菜部)] 대산(大蒜, 마늘) 2000
[용약(用藥)] 살찌고 여윈 데 따라 약을 쓰는 방법[肥瘦用藥] 2002
[화(火)] 신열(腎熱) 2006
[습(濕)] 한습(寒濕) 2013
[담음(痰飮)] 가래침을 자주 뱉는 것[喜唾痰] 2020
[습(濕)] 습열(濕熱) 2054
[신형(身形)] 형체와 기의 시초[形氣之始] 2055
[소갈(消渴)] 소갈을 두루 치료하는 약[消渴通治藥] 2057
[담음(痰飮)] 풍담(風痰) 2059
[정(精)]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2071
[기(氣)] 기로 생긴 통증[氣痛] 2072
[적취(積聚)] 적취를 치료하는 방법[積聚治法] 2093
[신형(身形)] 옛날에 진인(眞人), 지인(至人), 성인(聖人), 현인(賢人)이 있었다 2095
[심장(心臟)] 심장이 크고 작은 것[心臟大小] 2095
[신형(身形)] 병들지 않게 하며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하는 약[養性延年藥餌] 2107
[내상(內傷)] 내상과 외상의 감별[辨內外傷證] 2115
[옹저(癰疽)] 부골저(附骨疽) 2116
[꿈(夢)] 허번(虛煩)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虛煩不睡] 2144
[후음(後陰)] 장풍(腸風)과 장독(臟毒) 2145
[신(神)] 전광(癲狂) 2151
[온역(瘟疫)] 온역을 치료하는 방법[瘟疫治法] 2154
[귀(耳)] 귀울이[耳鳴] 2156
[신형(身形)] 정기신(精氣神)의 보양(保養)[保養精氣神] 2165
[발(足)] 각기병(脚氣病)을 치료하는 방법[脚氣治法] 2165
[신장(腎臟)] 신병을 치료하는 방법[腎病治法] 2220
[담음(痰飮)] 열담(熱痰) 2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