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氣)

하기(下氣)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847 추천 수 0

下氣 綱目曰下氣屬心經曰夏脈者心也.心脈不及下爲氣泄是也. 又曰癲癎勞?者若氣下泄不止者必死此眞氣竭絶腸胃?理閉塞穀氣不能宣通於腸胃之外故從腸胃中泄出也. 河間曰腸胃鬱結穀氣內發而不能宣通於腸胃之外故善噫而或下氣也. 仲景曰傷寒陽明病胃中有燥屎者必轉失氣下之卽愈轉失氣乃氣下泄也.詳見寒門


하기(下氣)
○ 『강목에는 "하기(下氣)는 심에 속한다"고 씌어 있다. 에는 "여름의 맥은 심()이 주관하는데 심맥(心脈)이 제대로 뛰지 못하고 처지면 기설증(氣泄證)이 된다"고 씌어 있다. 또한 "전간(癲癎)이나 노채(勞?)에 걸린 환자가 만약 기가 처져 내려가 계속 설사하면 반드시 죽는다. 이것은 진기가 말라 없어지고 장위(腸胃)와 주리(?理)가 막혀서 곡기(穀氣)가 장위의 밖으로는 퍼져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장위를 따라 설사로 나간다"고 씌어 있다. 하간(河間)"장위(腸胃)가 울결되어 곡기가 안으로만 쏠리고 장위의 밖으로는 퍼져 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트림이 나가고 혹은 방귀가 잘 나간다"고 하였다. 중경은 "상한 양명병에 속에 마른 대변이 있을 때는 반드시 방귀가 나간다. 설사시키면 곧 낫는다. 방귀가 나오는 것은 기가 처져 밖으로 나오는 것이다"고 하였다.(자세한 것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
] 하기(下氣) : 기가 위로 치민 것이 가라앉는 것. 하초의 기운, 몸 아랫도리의 기운. 방귀가 나가는 것.

[] 기설증(氣泄證) : 기로 인해서 생긴 설사증. 기운이 빠져 나가는 것.

[] 곡기(穀氣) : 음식을 먹어서 생긴 기(기운)를 말한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위령선(威靈仙, 으아리) 35
[돌[石部]] 식염(食鹽) 35
[돌[石部]] 불회목(不灰木) 35
[돌[石部]] 수포석(水泡石, 속돌) 35
[돌[石部]] 수중석자(水中石子, 물 속의 자갈) 36
[풀(草部)] 연교(連翹) 37
[돌[石部]] 석회(石灰) 37
[풀(草部)] 낭아(狼牙, 집신나물) 38
[풀(草部)] 저근(苧根, 모시풀뿌리) 지저즙(漬苧汁, 모시담갔던 즙) 38
[돌[石部]] 밀타승(密陀僧) 38
[돌[石部]] 백자설(白磁屑, 사기 부스러기) 38
[풀(草部)] 노근(蘆根, 갈뿌리) 39
[구슬[玉部]] 옥설(玉屑) 39
[돌[石部]] 현명분(玄明粉) 39
[돌[石部]] 풍화초(風化硝) 39
[돌[石部]] 청몽석(靑?石) 39
[풀(草部)] 낭탕자(??子, 사리풀씨) 40
[돌[石部]] 우여량(禹餘粮) 40
[돌[石部]] 망사(?砂, 노사) 40
[풀(草部)] 마두령(馬兜鈴, 쥐방울) 마두령근(馬兜鈴根, 마두령뿌리) 41
[구슬[玉部]] 진주(眞珠) 41
[돌[石部]] 비상(砒霜) 41
[나무[木部]] 무이(蕪荑, 참느릅나무열매) 42
[돌[石部]] 석종유(石鍾乳) 42
[돌[石部]] 아관석(鵝管石) 43
[풀(草部)] 하수오(何首烏) 44
[풀(草部)] 노화(蘆花, 갈대꽃) 44
[돌[石部]] 자석(磁石, 지남석) 44
[풀(草部)] 변축(?蓄, 마디풀) 45
[돌[石部]] 망초(芒硝)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