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氣)

침뜸치료[鍼灸法]/기

한닥터 2011.07.13 조회 수 902 추천 수 0
◎ 針灸法 ○ 一切氣疾取氣海氣逆取尺澤商丘太白三陰交噫氣上逆取太淵神門短氣取大陵尺澤少氣取間使神門大陵少衝足三里下廉行間然谷至陰肝兪氣海<伸應>?上氣灸太衝氣結食不消灸太倉冷氣臍下痛灸關元百壯短氣灸大 隨年壯肺兪百壯神闕二七壯又灸第五 下隨年壯<得效>?短氣取天井大 肺兪肝兪魚際尺澤<甲乙>?氣亂于心取神門大陵氣亂于肺取魚際太谿氣亂于腸胃取太白陷谷足三里氣亂于頭取天柱大?通谷束骨氣亂于臂脛取二間三間內庭陷谷液門中渚俠谿臨泣<靈樞>

☞ 침뜸치료[鍼灸法]/기  

○ 일체 기병에는 기해혈(氣海穴)에 놓고 기가 치미는 데는 척택(尺澤), 상구(商丘), 태백(太白), 삼음교(三陰交) 등의 혈에 놓는다. 트림이 올라올 때에는 태연(太淵)과 신문혈(神門穴)에 놓고 숨결이 밭을 때에는 대릉(大陵)과 척택혈(尺澤穴)에 놓는다. 기운이 적을 때에는 간사(間使), 신문, 대릉, 소충(少衝), 족삼리(足三里), 하렴(下廉), 행간(行間), 연곡(然谷), 지음(至陰), 간수(肝兪), 기해(氣海) 등의 혈에 놓는다[신응]. ○ 기가 치미는 데는 뜸을 태충혈(太衝穴)에 뜬다. 기가 몰려서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을 때에는 뜸을 태창혈(太倉穴)에 뜬다. 냉기가 있어서 배꼽 아래가 아플 때에는 관원혈(關元穴)에 뜸을 100장 뜬다. 숨결이 밭을 때에는 나이수만큼 뜸을 대추혈(大椎穴)에 뜨고 폐수혈(肺兪穴)에 100장, 신궐혈(神闕穴)에 14장 또는 나이수만큼 장수의 뜸을 제5추 아래에 뜬다[득효]. ○ 숨결이 밭은 데는 천정(天井), 대추, 폐수, 간수, 어제(魚際), 척택(尺澤) 등의 혈에 놓는다[갑을] ○ 기가 심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신문혈과 대릉혈에 놓는다. 기가 폐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어제혈과 태계혈(太谿穴)에 놓는다. ○ 기가 창자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태백혈(太白穴), 함곡혈(陷谷穴), 족삼리혈에 놓는다. 기가 머리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천주(天柱), 대저(大?), 통곡(通谷), 속골(束骨) 등의 혈에 놓는다. 기가 팔과 다리에서 문란해졌을 때에는 침을 이간(二間), 삼간(三間), 내정(內庭), 함곡, 액문(液門), 중저(中諸), 협계(俠谿), 임읍(臨泣) 등의 혈에 놓는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위령선(威靈仙, 으아리) 35
[돌[石部]] 식염(食鹽) 35
[돌[石部]] 불회목(不灰木) 35
[돌[石部]] 수포석(水泡石, 속돌) 35
[돌[石部]] 수중석자(水中石子, 물 속의 자갈) 36
[풀(草部)] 연교(連翹) 37
[돌[石部]] 석회(石灰) 37
[풀(草部)] 낭아(狼牙, 집신나물) 38
[풀(草部)] 저근(苧根, 모시풀뿌리) 지저즙(漬苧汁, 모시담갔던 즙) 38
[돌[石部]] 밀타승(密陀僧) 38
[돌[石部]] 풍화초(風化硝) 38
[돌[石部]] 백자설(白磁屑, 사기 부스러기) 38
[풀(草部)] 노근(蘆根, 갈뿌리) 39
[구슬[玉部]] 옥설(玉屑) 39
[돌[石部]] 현명분(玄明粉) 39
[돌[石部]] 청몽석(靑?石) 39
[풀(草部)] 낭탕자(??子, 사리풀씨) 40
[돌[石部]] 우여량(禹餘粮) 40
[돌[石部]] 망사(?砂, 노사) 40
[풀(草部)] 마두령(馬兜鈴, 쥐방울) 마두령근(馬兜鈴根, 마두령뿌리) 41
[구슬[玉部]] 진주(眞珠) 41
[돌[石部]] 비상(砒霜) 41
[나무[木部]] 무이(蕪荑, 참느릅나무열매) 42
[돌[石部]] 석종유(石鍾乳) 42
[돌[石部]] 아관석(鵝管石) 43
[풀(草部)] 하수오(何首烏) 44
[풀(草部)] 노화(蘆花, 갈대꽃) 44
[돌[石部]] 자석(磁石, 지남석) 44
[풀(草部)] 변축(?蓄, 마디풀) 45
[돌[石部]] 망초(芒硝)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