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神)

5장의 기[藏氣]가 끊어지면 신(神)이 겉부분에 나타난다[藏氣絶則神見於外]

한닥터 2011.07.14 조회 수 792 추천 수 0
◎ 藏氣絶則神見於外 ○ 一士人喜觀書忘食一日有紫衣人立於前日公不可苦思思則我死矣問其何人曰我穀神也.於是絶思而食如故矣<延壽書> ○ 無錫游氏子以酒色得疾常見兩女子衣服鮮麗??至腰而沒醫曰此腎神也.腎絶則神不守舍故見於外也.<醫說>

☞ 5장의 기[藏氣]가 끊어지면 신(神)이 겉부분에 나타난다[藏氣絶則神見於外]  

○ 어떤 학자가 책읽기를 좋아하던 나머지 밥먹는 것마저 잊곤 하였다. 그런데 하루는 자줏빛 옷을 입은 사람이 그의 앞에 나타나서 "당신은 너무 사색하지 말라. 그렇게 지나치게 사색한다면 나는 죽는다"고 하였다. 학자가 "그대는 누구인가"고 물었더니 그가 "나는 곡신(穀神)이다"고 대답하였다. 그래서 사색하던 것을 그만두고 나서 음식을 이전과 같이 먹었다고 한다[연수서]. ○ 무석(無錫) 유씨(游氏)의 아들이 주색을 좋아한 탓으로 병이 들었는데 그에게는 항상 두 여자가 의복을 곱게 입고 점차적으로 허리까지 나타났다가 사라지곤 했다고 하였다. 의사가 말하기를 이것은 신(腎)의 신(神)인데 신기(腎氣)가 끊어지면 신(神)은 있을 곳이 없기 때문에 겉에 나타나는 것이라고 하였다[의설]. 
[註] 위의 내용은 도교의 전설에서 나온 말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기(氣)] 소기(少氣) 1754
[담음(痰飮)] 담음에 두루 쓰는 약[痰飮通治藥] 1760
[혈(血)] 해혈(咳血), 수혈(嗽血), 타혈(唾血), 각혈(?血) 1 1770
[화(火)] 열은 낮에 나는 것과 밤에 나는 것의 구별이 있다[熱有晝夜之分] 1780
[습(濕)]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濕病治法及通治藥] 1809
[진액(津液)] 식은땀[盜汗] 1810
[제창(諸瘡)] 인면창(人面瘡) 1811
[가슴(胸)] 흉비(胸?) 1817
[얼굴(面)] 얼굴에 열이 있는 것[面熱] 1820
[내상(內傷)] 트림[噫氣] 1831
[화(火)] 화와 열에도 실한 것과 허한 것이 있다[火熱有實有虛] 1847
[간장(肝臟)] 간병을 치료하는 법[肝病治法] 1852
[정(精)] 정(精)이 절로 나가는 것은 허증에 속한다[精滑脫屬虛] 1860
[기(氣)] 기의 병증에 두루 쓰는 약[通治氣藥] 1861
[허로(虛勞)] 기허, 혈허, 양허, 음허의 감별[辨氣虛血虛陽虛陰虛] 1867
[내상(內傷)] 술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법[酒病治法] 1868
[피부(皮)] 자전풍과 백전풍을 치료하는 처방[治赤白汗斑方] 1874
[신(神)] 건망증[健忘] 1876
[화(火)] 삼초의 화를 두루 치료하는 약[通治三焦火] 1879
[폐장(肺臟)] 폐의 위치[肺部位] 1883
[후음(後陰)] 탈항(脫肛) 1904
[비장(脾臟)] 비병을 치료하는 방법[脾病治法] 1908
[혈(血)] 피똥[便血] 1916
[발(足)] 위증을 치료하는 방법[?病治法] 1916
[내상(內傷)]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醒酒令不醉] 1958
[허리(腰)] 신허로 허리가 아픈 것[腎虛腰痛] 1 1960
[화(火)] 상초열(上焦熱) 1 1961
[신(神)] 신병에 두루 쓰는 약[神病通治藥餌] 1962
[내상(內傷)] 노권상의 치료법[勞倦傷治法] 1963
[기(氣)] 기울(氣鬱)/기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