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神)

탈영증과 실정증[脫營失精證]

한닥터 2011.07.14 조회 수 1455 추천 수 0
◎ 脫營失精證 ○ 內經曰嘗貴後賤名曰脫營嘗富後貧名曰失精雖不中邪病從內生身體曰減氣虛無精病深無氣酒酒然時驚病深者以其外耗於衛內奪於榮註云血爲憂煎氣隨悲減故外耗於衛內奪於榮?是證令人飮食無味神倦肌瘦內服交感丹(方見氣門)外用香鹽散(方見牙齒)擦牙<入門>?宜服天王補心丹(方見下)加減鎭心丹升陽順氣湯淸心補血湯(方見上)

☞ 탈영증과 실정증[脫營失精證]  

○ 『내경』에는 "전에 귀족으로 살다가 후에 천민이 되어 생긴 병을 탈영(脫營)이라 하고 전에 부자로 살다가 후에 가난해져서 생긴 병을 실정(失精)이라고 한다. 비록 사기가 침범하지는 않았지만 병이 속에서부터 생겨 몸이 매일같이 수척해지면 기가 허해지고 정기(精氣)도 없으며 병이 심해져서 기운이 없어지고 으스스하면서 때때로 놀라게 된다. 병이 심해지는 것은 겉으로 위기(衛氣)가 소모되고 속으로는 영혈(榮血)이 허탈되기 때문이다"고 씌어 있다. 또한 주해에는 "혈은 근심 때문에 줄어들고 기는 슬픔 때문에 감소되므로 겉에서는 위기(衛氣)가 소모되고 속으로는 영(榮)이 허탈된다"고 씌어 있다. ○ 이때의 증상으로는 음식맛이 없게 되며 몸이 나른해지고 살이 여위어진다. 이런 데는 교감단(交感丹,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먹고 외용약 향염산(香鹽散, 처방은 이빨문에 있다)으로 이를 닦는다[입문]. ○ 탈영증과 실정증에는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처방은 아래에 있다), 가감진심단, 승양순기탕, 청심보혈탕(淸心補血湯,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 加減鎭心丹 ○ 治氣血不足心神虛損天門冬黃?蜜灸當歸身酒焙熟地黃各一兩半麥門冬生乾地黃山藥白茯神各一兩五味子遠志薑汁製人參各五錢右爲末蜜丸菉豆大朱砂爲衣溫酒或米飮下五七十丸<北窓>
☞ 가감진심단(加減鎭心丹) ○ 기혈(氣血)의 부족과 심신(心神)이 허손된 것을 치료한다. ○ 천문동, 황기(봉밀물로 축여 구운 것), 당귀(술로 축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숙지황 각각 60g, 맥문동, 생건지황, 마, 백복신 각각 40g, 오미자, 원지(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인삼 각각 20g.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봉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북창]. 

? 升陽順氣湯 ○ 治忿怒傷肝思慮傷脾悲哀傷肺以致各經火動有傷元氣發熱不思飮食黃?蜜灸二錢人參半夏薑製各一錢神麴炒七分半當歸草豆?陳皮升麻柴胡各五分黃栢甘草灸各二分半右?作一貼薑三片水煎服<丹心>
☞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 ○ 몹시 성내어 간을 상한 것, 사색을 지나치게 하여 비를 상한 것, 지나친 비애로 폐를 상해서 각각 해당한 경의 화가 동하고 원기를 상하며 열이 나고 음식을 먹고 싶어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 황기(봉밀물로 축여 구운 것) 8g, 인삼, 반하(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각각 4g, 신국(볶은 것) 3g, 당귀, 초두구, 진피, 승마, 시호 각각 2g, 황백, 감초(볶은 것) 각각 1g.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오장육부(五臟六腑)] 장과 부의 병증은 다르다[臟腑異證] 682
[오장육부(五臟六腑)] 장의 병은 치료하기 어렵고 부의 병은 쉽다[臟腑病治有難易] 700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 6부의 상호관계[臟腑相關] 1615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병이 경해지거나 중해지는 것[五臟病間甚] 633
[오장육부(五臟六腑)] 5장의 기가 죽는 시기[五臟死期] 648
[오장육부(五臟六腑)] 장부의 기운이 끊어진 증후[臟腑氣絶候] 691
[오장육부(五臟六腑)] 단방(單方)/5장6부 832
[간장(肝臟)] 간장의 형태[肝形象] 814
[간장(肝臟)] 간의 위치[肝部位] 1053
[간장(肝臟)] 간이 주관하는 날짜[肝主時日] 634
[간장(肝臟)] 간에 속한 것들[肝屬物類] 1182
[간장(肝臟)] 간이 크고 작은 것[肝臟大小] 736
[간장(肝臟)] 간병의 증상[肝病證] 1504
[간장(肝臟)] 간병의 허증과 실증[肝病虛實] 1190
[간장(肝臟)] 간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肝病間甚] 876
[간장(肝臟)] 간병을 치료하는 법[肝病治法] 1852
[간장(肝臟)] 간기가 끊어진 증후[肝絶候] 751
[간장(肝臟)] 간장을 수양하는 법[肝臟修養法] 825
[간장(肝臟)] 간장에 대한 도인법[肝臟導引法] 1074
[간장(肝臟)] 단방(單方)/간장 932
[심장(心臟)] 심장의 형태[心形象] 805
[심장(心臟)] 심장의 위치[心部位] 1335
[심장(心臟)] 심이 주관하는 날짜[心主時日] 608
[심장(心臟)] 심에 속한 것들[心屬物類] 757
[심장(心臟)] 심장이 크고 작은 것[心臟大小] 2094
[심장(心臟)] 심이 상한 증상[心傷證] 906
[심장(心臟)] 심병의 증상[心病證] 1343
[심장(心臟)] 심병의 허증과 실증[心病虛實] 1703
[심장(心臟)] 심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心病間甚] 822
[심장(心臟)] 수소음은 수혈이 없다[手少陰無輸] 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