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神)

침뜸치료[鍼灸法]/신

한닥터 2011.07.14 조회 수 4261 추천 수 0
◎ 鍼灸法 ○ 癲癎晝發治陽?(申脈)夜發治陰?(照海)各灸二七壯<易老> ○ 又灸百會風池<資生> ○ ?病取鳩尾後谿湧泉心兪陽交三里太衝間使上脘凡?病必先下之乃可灸不然則氣不通能殺人針不拘此<綱目> ○ 癲狂取豊隆期門溫留通谷築賓陽谷後谿陰谷<甲乙> ○ 又灸間使三十壯<得效> ○ 又灸天樞百壯<得效> ○ 健忘取列缺心兪神門中脘三里少海又灸百會<綱目> ○ 失志痴?取神門中衝鬼眼鳩尾百會後谿大鍾<綱目> ○ 善恐心??取然谷內關陰陵泉俠谿行間<綱目> ○ 心澹澹大動取大陵三里<綱目>

☞ 침뜸치료[鍼灸法]/신  

○ 전광증이 낮에 발작하는 데는 양교(陽?, 신맥)혈에, 밤에 발작하는데는 음교(陰?, 소해)혈에 각각 14장의 뜸을 뜬다[역로]. ○ 또한 백회(百會)와 풍지(風池)혈에 뜸을 뜬다[자생]. ○ 간질에는 구미(鳩尾), 후계(後谿), 용천(涌泉), 심수(心兪), 양교(陽交), 삼리(三里), 태충(太衝), 간사(間使), 상완(上脘) 등의 혈에 놓는다. 대체로 간병(癎病)에는 반드시 먼저 설사시키고 뜸을 떠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기가 잘 통하지 못해서 죽을 수 있다. 침을 놓을 때에는 그렇지 않다[강목]. ○ 전광에는 풍륭(豊隆), 기문(期門), 온류(溫留), 통곡(通谷), 축빈(築賓), 양곡(陽谷), 후계(後谿), 음곡(陰谷) 등의 혈에 놓는다[갑을]. ○ 또한 간사혈에 30장의 뜸을 뜬다[득효]. ○ 또한 천추혈에 100장의 뜸을 뜬다[득효]. ○ 건망증에는 열결(列缺), 심수(心兪), 신문(神門), 중완, 삼리, 소해(少海) 등의 혈에 놓는다. 또한 백회혈에 뜸을 뜬다[강목]. ○ 정신을 잃고 바보처럼 된데는 신문, 중충(中衝), 귀안(鬼眼), 구미, 백회, 후계, 대종(大鍾) 등의 혈에 놓는다[강목]. ○ 잘 무서워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는 연곡(然谷), 내관(內關), 음릉천(陰陵泉), 협계(俠谿), 행간 등의 혈에 놓는다[강목]. ○ 가슴이 할랑거리면서 몹시 뛰는 데는 대릉(大陵), 삼리혈에 놓는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유기노초(劉寄奴草) 46
[돌[石部]] 오고미(烏古尾, 오고와) 46
[금속[金部]] 석(錫, 주석) 47
[나무[木部]] 장뇌(樟腦) 50
[풀(草部)] 희렴(稀? , 진득찰) 52
[돌[石部]] 활석(滑石, 곱돌) 53
[금속[金部]] 금설(金屑, 금가루) 53
[나무[木部]] 지각(枳殼) 54
[나무[木部]] 후박(厚朴) 54
[나무[木部]] 목근(木槿, 무궁화) 목근화(木槿花, 무궁화꽃) 54
[돌[石部]] 대자석(代?石) 54
[금속[金部]] 철정(鐵精) 54
[금속[金部]] 은설(銀屑, 은가루) 55
[금속[金部]] 황단(黃丹) 55
[금속[金部]] 철화분(鐵華粉) 55
[풀(草部)] 낭독(狼毒, 오독도기) 56
[나무[木部]] 백단향(白檀香) 56
[나무[木部]] 추목피(秋木皮, 가래나무껍질, 초목피) 56
[풀(草部)] 파초근(芭蕉根, 파초뿌리) 57
[돌[石部]] 석고(石膏) 57
[금속[金部]] 동청(銅靑, 구리에 녹이 슨 것) 57
[금속[金部]] 약시철(?匙鐵, 열쇠) 57
[금속[金部]] 고거철치(故鋸鐵齒, 오래된 톱날) 57
[금속[金部]] 철부(鐵斧, 쇠도끼) 57
[풀(草部)] 연지(?脂) 58
[풀(草部)] 파초유(芭蕉油, 파초진) 58
[돌[石部]] 반석(礬石, 백반) 58
[금속[金部]] 경분(輕粉) 58
[나무[木部]] 뇌환(雷丸) 59
[돌[石部]] 공청(空靑)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