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血)

맥 보는 법[脈法]/혈

한닥터 2011.07.15 조회 수 749 추천 수 0
◎ 脈法 ○ 脈經曰脈得諸澁濡弱爲亡血?脈訣曰諸證失血皆見?脈脈貴沈細浮大難治?正傳曰?爲失血澁爲少血又曰吐血之脈必大而?大爲發熱?爲失血?靈樞曰?而不止脈大者逆?內經曰脈至而搏血?身熱者死又曰腹脹便血脈大時絶者死?難經曰病若吐?血脈當沈細反浮大而牢者死?仲景曰脫血而脈實者難治?丹溪曰吐?血脈滑數者難治?吐唾血脈小弱者生實大者死?諸失血證脈大且數者逆

☞ 맥 보는 법[脈法]/혈

  ○ 『맥경』에 맥이 삽(澁)하면서 유약(濡弱)한 것은 망혈증(亡血證)이 생긴 것이라고 씌어 있다. ○ 『맥결』에 여러 가지 병으로 피를 잃으면 규맥(?脈)이 나타나는데 이때에 맥이 침세(沈細)하면 치료할 수 있고 부대(浮大)하면 치료하기 어렵다고 씌어 있다. ○ 『정전』에 "규맥은 피를 잃은 맥이고 삽맥은 피가 부족한 맥이다. 그리고 피를 토한 다음에는 반드시 대맥(大脈)과 규맥(?脈)이 나타난다. 대맥은 열이 있는 맥이고 규맥은 피를 잃은 맥이다"고 씌어 있다. ○ 『영추』에 "코피가 계속 나오면서 맥이 대(大)한 것은 좋지 못한 증상"이라고 씌어 있다. ○ 『내경』에 "맥이 빠르고 코피가 나오면서 몸에 열이 나면 죽는다"고 씌어 있다. ○ 『난경』에 "병으로 피를 토하거나 코피가 나올 때에는 맥이 반드시 침세하여야 하는데 반대로 부대하면서 뇌(牢)하면 죽는다"고 씌어 있다. ○ 중경은 피를 몹시 흘린 다음 맥이 실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 단계는 피를 토하거나 코피가 나오면서 맥이 활삭(滑數)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 피를 토하거나 가래침에 피가 섞여나올 때에 맥이 소약(小弱)하면 살고 맥이 실대(實大)하면 죽는다. ○ 피를 흘리는 여러 가지 병에 맥이 대하면서 삭한 것은 좋지 못한 증상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심장(心臟)] 심병을 치료하는 방법[心病治法] 1591
[심장(心臟)] 심기가 끊어진 증후[心絶候] 718
[심장(心臟)] 심장을 수양하는 법[心臟修養法] 809
[심장(心臟)] 심장에 대한 도인법[心臟導引法] 815
[심장(心臟)] 단방(單方)/심장 921
[비장(脾臟)] 비장의 형태[脾形象] 865
[비장(脾臟)] 비장의 위치[脾部位] 1140
[비장(脾臟)] 비가 주관하는 날짜[脾主時日] 717
[비장(脾臟)] 비에 속한 것들[脾屬物類] 807
[비장(脾臟)] 비장이 크고 작은 것[脾臟大小] 957
[비장(脾臟)] 비가 상한 증상[脾傷證] 1072
[비장(脾臟)] 비병의 증상[脾病證] 1444
[비장(脾臟)] 비병의 허증과 실증[脾病虛實] 1228
[비장(脾臟)] 비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脾病間甚] 846
[비장(脾臟)] 비병을 치료하는 방법[脾病治法] 1908
[비장(脾臟)] 비기가 끊어진 증후[脾絶候] 788
[비장(脾臟)] 비장을 수양하는 법[脾臟修養法] 856
[비장(脾臟)] 비장에 대한 비장도인법[脾臟導引法] 859
[비장(脾臟)] 단방(單方)/비장 958
[폐장(肺臟)] 폐장의 형태[肺形象] 804
[폐장(肺臟)] 폐의 위치[肺部位] 1883
[폐장(肺臟)] 폐가 주관하는 날짜[肺主時日] 683
[폐장(肺臟)] 폐에 속한 것들[肺屬物類] 801
[폐장(肺臟)] 폐장이 크고 작은 것[肺臟大小] 643
[폐장(肺臟)] 폐가 상한 증상[肺傷證] 907
[폐장(肺臟)] 폐병의 증상[肺病證] 1297
[폐장(肺臟)] 폐병의 허증과 실증[肺病虛實] 1040
[폐장(肺臟)] 폐병이 경해지고 중해지는 것[肺病間甚] 780
[폐장(肺臟)] 폐병을 치료하는 법[肺病治法] 1 1435
[폐장(肺臟)] 폐의 기가 끊어진 증후[肺絶候] 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