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血)

혈한(血汗)/혈

한닥터 2011.07.15 조회 수 973 추천 수 0
◎ 血汗 ○ 內經曰少陰所至爲??釋曰?血汗也. ○ 河間曰膽受熱血妄行爲??幷血汗宜定命散 ○ 三因曰無病者汗出汚衣甚如胚染名曰血汗亦曰紅汗由木喜傷心喜則氣散血隨氣行也.宜黃?建中湯(方見虛勞)兼服妙香散(方見神門)以金銀器入小麥麥門冬煎湯調下又産婦血汗宜?草汁方

☞ 혈한(血汗)/혈

  ○ 『내경』에는 "소음(少陰)군화㈜가 타오르면 육멸(??)㈜이 된다"고 씌어 있다. ○ 주석에 멸()은 혈한(血汗)이라고 씌어 있다. ○ 하간(河間)은 담(膽)이 열을 받으면 피도 허투루 돌기 때문에 육멸이 생기거나 혈한이 생긴다고 하였다. 이런 데는 정명산을 쓰는 것이 좋다. ○ 『삼인방』에는 "병이 없는 사람도 땀이 나면 옷이 더러워지고 이것이 심하면 더럽게 물든 것같이 된다. 이것을 보고 혈한이라고 하는데 붉은 땀이라고도 한다. 지나치게 기뻐하여 심장이 상했을 때 또 기뻐하면 기가 흩어지면서 피도 따라 나간다. 이런데는 황기건중탕(黃?建中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쓰면서 겸하여 묘향산(妙香散, 처방은 신문에 있다)을 써야 하는데 금이나 은 그릇에 밀과 맥문동을 넣고 달인 물에 타먹어야 한다. 그리고 산모의 혈한에는 한삼덩굴(율초)즙을 쓰는 것이 좋다"고 씌어 있다. 

[註] 소음(少陰)군화 : 심의 화를 말한다. 상화(신화, 간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볼 때 심화를 군화라고 한다. 
[註] 육멸(??) : 코피가 나오는 것을 말한다. 

? 定命散治??血汗朱砂寒水石麝香右等分爲末每半錢新水調下<河間>
☞ 정명산(定命散) ○ 코피가 나오는 것과 혈한(血汗)을 치료한다. ○ 주사, 한수석, 사향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씩 새로 길어온 물에 타 먹는다[하간]. 

? ?草汁方治産婦因大喜汗出汚衣赤色?草?取汁二升入醋二合和之空腹飮一盞或濃煮服亦可<三因> ○ 蝟皮肉主血汗皮燒灰米飮調服肉煮食之<本草>

☞ 율초즙방(?草汁方) ○ 산모가 지나치게 기뻐하여 땀이 나서 옷까지 벌겋게 물드는 것을 치료한다. ○ 한삼덩굴(율초)을 짓찧어 낸 즙 2되와 식초 2홉을 고루 섞어서 한번에 1잔씩 빈속에 마신다. 또한 진하게 달여서 먹어도 좋다[삼인]. ○ 고슴도치의 가죽과 고기는 혈한에 주로 쓴다. 가죽은 태워 가루를 내어 미음에 타먹고 고기는 삶아서 먹는다[본초]. 

관련된 글
  1. 임상 경험방 수장한 by 한닥터
  2. 기본방 모음 311. 黃?建中湯(황기건중탕) by 한닥터
  3. 기본방 모음 311. 黃?建中湯(황기건중탕) by 한닥터
  4. 회원임상례 (등업용)임신중 소양증의 치료. by 애스톤마틴 *1
  5. 동의보감 주하병(注夏病) by 한닥터
  6. 동의보감 노권상의 치료법[勞倦傷治法]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수염과 머리털이 노랗게 되면서 마르는 것[鬚髮黃落] by 한닥터
  8. 동의보감 내상으로 반진이 돋은 것[內傷發?] by 한닥터
  9. 방약합편 311. 黃芪建中湯(황기건중탕) by 한닥터
  10. 동의보감 처방집 율초즙방( ?草汁方) by 한닥터
  11. 동의보감 처방집 정명산(定命散) by 한닥터
  12. 방약합편 황기건중탕 - 黃蓍[耆]建中湯 by 한닥터
  13. 고방 처방집 황기건중탕 黃?建中湯方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돌[石部]] 화예석(花蘂石) 59
[금속[金部]] 유철(柔鐵) 59
[금속[金部]] 철장(鐵漿) 59
[금속[金部]] 차할철(車轄鐵) 59
[나무[木部]] 저령(猪苓 ) 60
[나무[木部]] 낙수피(?樹皮, 떡갈나무껍질) 60
[과실(果部)] 명사(??, 명자) 61
[풀(草部)] 작맥(雀麥, 귀리) 61
[나무[木部]] 유핵(?核, 유인) 61
[금속[金部]] 철액(鐵液) 61
[채소(菜部)] 야산(野蒜) 62
[풀(草部)] 오두(烏頭) 62
[나무[木部]] 백극(白棘) 62
[금속[金部]] 생철(生鐵, 무쇠) 62
[금속[金部]] 강철(鋼鐵) 62
[돌[石部]] 마아초(馬牙硝) 63
[짐승(獸部)] 가리(家狸, 고양이) 64
[풀(草部)] 포공초(蒲公草, 민들레) 64
[돌[石部]] 무명이(無名異, 무명석) 64
[풀(草部)] 원의(垣衣) 65
[금속[金部]] 마함철(馬啣鐵) 65
[돌[石部]] 노감석(爐甘石) 66
[금속[金部]] 철설(鐵屑) 66
[풀(草部)] 홍두구(紅豆?) 67
[풀(草部)] 견우자(牽牛子, 나팔꽃씨) 67
[나무[木部]] 우이자(牛李子) 우이자(牛李子) 우이수피(牛李樹皮, 서리자나무뿌리껍질) 67
[풀(草部)] 지의(地衣) 68
[풀(草部)] 고근(菰根, 줄풀뿌리) 68
[풀(草部)] 경실(?實, 어저뀌씨) 68
[채소(菜部)] 자현(紫? , 자줏빛 비름)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