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血)

검은 약[黑藥]은 피를 멎게 한다[黑藥止血]

한닥터 2011.07.15 조회 수 900 추천 수 0
◎ 黑藥止血 ○ 綱目曰燒灰諸黑藥皆能止血經曰北方黑色入通於腎夫血者心之色也.血見黑卽止者由腎水能制心火故也. ○ 止血宜五灰散十灰散十灰丸如百草霜松烟墨油髮灰新綿灰棕櫚灰梔子乾?荊芥蓮房蝟皮牛角?之類皆可燒灰單服

☞ 검은 약[黑藥]은 피를 멎게 한다[黑藥止血]

  ○ 『강목』에 "불에 탄 것이나 빛이 검은 약은 다 피를 멎게 한다"고 씌어 있다. 『경』에 "북방(北方)은 검은 빛㈜이고 신(腎)과 통해 있다. 피는 심(心)의 빛이다. 피가 검은 것을 만나면 멎는 것은 신수(腎水)가 심화(心火)를 억제하기 때문이다"고 씌어 있다. ○ 피를 멈추는 데는 오회산, 십회산, 십회환 등을 쓰는 것이 좋다. 가마밑검댕, 송연묵, 기름묻은 난발(태워 가루낸 것), 햇솜 태운 가루, 종려피(태워 가루낸 것), 산치자, 곶감, 형개, 연실송이, 고슴도치가죽(자위피), 소뿔(우각) 속뼈 같은 것들을 태워 가루를 내어 한 가지만 먹어도 좋다. 

[註] 북방의 검은 빛 : 신장을 5행에 귀속시켜 물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 물(신수)이 불(심화)을 이기기 때문에 피가 멎는다고 생각하였으며 또 검은 빛을 만나도 피가 멎는다고 5행설로 설명하였는데 이것은 과학성이 없는 말이다. 

? 五灰散治一切失血及血崩蓮蓬殼黃絹亂髮百草霜棕櫚皮右各燒存性等分加梔子炒黑蒲黃炒松烟墨血竭共爲細末每三錢以生藕汁生蘿?汁調服之或蜜丸米飮下五十丸亦可<回春>
☞ 오회산(五灰散) ○ 여러 가지 원인으로 피를 흘리는 것과 혈붕증(血崩證)을 치료한다. ○ 연실껍질, 누런비단, 난발, 백초상, 종려피. ○ 위의 약들을 각기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산치자(검게 되도록 볶은 것), 포황(볶은 것), 좋은 먹, 혈갈과 함께 보드랍게 가루를 낸다. 한번에 12g씩 생연뿌리즙을 섞은 생무즙에 타서 먹는다. 또는 봉밀로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알씩 미음으로 먹어도 좋다[회춘]. 

? 十灰散治嘔吐?嗽血及虛勞大吐血大?小?柏葉荷葉茅根?根大黃梔子棕櫚皮牡丹皮各等分右燒存性出火毒硏爲極細末用生藕汁或蘿?汁磨松墨半椀調服五錢卽止<新書>
☞ 십회산(十灰散) ○ 구혈(嘔血), 토혈(吐血), 각혈(?血), 수혈(嗽血)과 허로로 피를 많이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 대계, 소계, 측백잎, 연잎, 모근, 천초, 대황, 산치자, 종려피, 모란껍질(목단피)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약성이 남게 태워서 화독을 뺀 다음 보드랍게 가루를 낸다. 한번에 20g씩 생연뿌리즙이나 생무즙에 간 참먹물 반 사발에 타서 먹으면 멎는다[신서]. 

? 十灰丸治血崩及一切失血黃絹灰馬尾灰藕節灰艾葉灰蒲黃灰蓮蓬灰油髮灰棕櫚灰赤松皮灰新綿灰各等分右爲末以醋煮?米糊和丸梧子大米飮下百丸<丹心>
☞ 십회환(十灰丸) ○ 혈붕증과 여러 가지 원인으로 피를 흘리는 것을 치료한다. ○ 누런 비단(태워 가루낸 것), 말꼬리(태워 가루낸 것), 연뿌리(태워 가루낸 것), 약쑥(애엽, 태워 가루낸 것), 포황(태워 가루낸 것), 연실집(태워 가루낸 것), 기름묻은 난발(태워 가루낸 것), 종려피(태워 가루낸 것), 벌건 소나무껍질(태워 가루낸 것), 햇솜(태워 가루낸 것)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식초에 쑨 찹쌀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미음으로 먹는다[단심].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혈붕(血崩) by 한닥터
  2. 동의보감 허로를 치료하는 갈가구의 10가지 약[葛可久治虛勞十藥] by 한닥터 *1
  3. 동의보감 붕루를 치료하는 방법[崩漏治法] by 한닥터 *1
  4. 동의보감 처방집 십회산(十灰散)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처방집 십회산(十灰散)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오회산(五灰散)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십회환(十灰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구급(救急)] 갑자기 죽는 것(卒死) 27816
[신장(腎臟)] 신병의 증상[腎病證] 19694
[포(胞)] 월경을 잘 통하게 하는 치료법[通血治法] 9094
[기침(咳嗽)] 한수(寒嗽) 6139
[피부(皮)] 마목(麻木) 5604
[포(胞)] 월경이 중단된 것[血閉] 5534
[신장(腎臟)] 신병의 허증과 실증[腎病虛實] 5526
[신형(身形)] 신기한 베개를 만드는 방법[神枕法] 4509
[꿈(夢)] 나쁜 꿈[惡夢]을 꾸지 않게 하는 방법[?惡夢] 4485
[신형(身形)] 신형장부도 身形藏府圖 2 4482
[화(火)] 양허와 음허의 2가지 증의 감별[辨陽虛陰虛二證] 4286
[신(神)] 침뜸치료[鍼灸法]/신 4261
[입과 혀(口舌)] 하품하다가 턱이 어긋난 것[失欠脫?] 4142
[부인(婦人)] 임신할 수 있게 하는 법[求嗣] 4061
[신형(身形)] 임신의 시초[胎孕之始] 3930
[가슴(胸)] 진심통(眞心痛) 3466
[용약(用藥)] 생리작용의 근원을 보하는 것[滋化源] 3286
[허로(虛勞)] 음이 허한 데 쓰는 약[陰虛用藥] 3133
[구토(嘔吐)] 열격과 반위를 치료하는 방법[?膈反胃治法] 3068
[옹저(癰疽)] 홍사정(紅絲?) 3058
[신장(腎臟)] 신장에 속한 것들[腎屬物類] 2950
[배(腹)] 배가 아프고 구토하면서 설사하는 것[腹痛嘔泄] 2903
[목구멍(咽喉)] 목젖이 부어서 내려 드리운 것[懸雍垂] 2883
[제창(諸瘡)] 나력(??) 3 2813
[제창(諸瘡)] 대풍창(大風瘡, 문둥병) 2742
[부종(浮腫)] 수종을 치료하는 방법[水腫治法] 2739
[담음(痰飮)] 담음을 치료하는 방법[痰飮治法] 2721
[정(精)] 성욕을 조절하여 정액을 간직한다[節慾儲精] 2630
[손(手)] 생손앓이[代指] 2623
[허로(虛勞)] 신이 허한 데 쓰는 약[腎虛藥] 1 2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