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夢)

늙인이와 젊은이가 잠을 자는 것이 다르다[老少之睡不同]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926 추천 수 0
◎ 老少之睡不同 ○ 黃帝問曰老人之不夜瞑少壯之不晝瞑者何氣使然岐伯答曰壯者之氣血盛其肌肉滑氣道通榮衛之行不失其常故晝精而夜瞑老者之氣血衰其肌肉枯氣道澁五藏之氣相搏其榮氣衰少而衛氣內代故晝不精而夜不眠<靈樞>

☞ 늙인이와 젊은이가 잠을 자는 것이 다르다[老少之睡不同]

  ○ 황제가 "늙은이는 밤에 잘 자지 못하고 젊은이는 낮에 잘 자지 못하는데 무슨 기운이 그렇게 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젊은이는 기혈(氣血)이 왕성하고 근육이 든든하며 기가 도는 길이 잘 통하여 있기 때문에 영위(榮衛)가 정상으로 잘 돈다. 그러므로 낮에는 정신이 맑고 밤에는 잔다. 늙은이는 기혈이 쇠약하고 근육이 마르고 기가 도는 길이 고르지 못하여 5장의 기가 서로 충돌하게 되고 영기(榮氣)가 부족하다. 그러므로 위기(衛氣)가 속으로 들어가서 그를 대신한다. 때문에 낮에도 정신이 맑지 못하고 밤에는 자지 못한다"고 하였다[영추].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의 증상[大腸病證] 937
[부인(婦人)] 해산 후에 명치 밑과 허리, 옆구리가 아픈 것[産後心腹腰脇痛] 937
[대장부(大腸腑)] 대장병을 치료하는 법[大腸病治法] 936
[서(暑)] 서풍(暑風) 936
[제창(諸瘡)] 나두창(癩頭瘡) 936
[내상(內傷)] 식상증(食傷證) 935
[부인(婦人)] 자종(子腫) 934
[오줌(小便)] 고림(膏淋) 933
[한(寒)] 상한 때의 발광증[傷寒發狂] 933
[간장(肝臟)] 단방(單方)/간장 932
[풍(風)] 역절풍의 원인[歷節風病因] 932
[오줌(小便)] 사림(沙淋) 931
[신(神)] 단방(單方)/신 930
[귀(耳)] 습으로 귀가 먹은 것[濕聾] 930
[허리(腰)] 허리는 신에 속한 부이다[腰爲腎府] 930
[해독(解毒)] 산초중독[川椒毒] 930
[눈(眼)] 눈이 아픈 것[眼疼] 929
[전음(前陰)] 음경이 늘어지거나 줄어드는 것[陰縱陰縮] 929
[손(手)] 어깨뼈와 팔뼈가 어긋난 것[肩臂骨脫臼] 928
[꿈(夢)] 늙인이와 젊은이가 잠을 자는 것이 다르다[老少之睡不同] 926
[풀(草部)] 우슬(牛膝, 쇠무릎) 924
[머리(頭)] 기훈(氣暈) 924
[창만(脹滿)] 기창(氣脹) 치료법 924
[벌레(蟲部)] 상표초(桑??, 사마귀알집) 924
[심장(心臟)] 단방(單方)/심장 921
[피부(皮)] 내상으로 반진이 돋은 것[內傷發?] 921
[적취(積聚)] 열울(熱鬱) 921
[신(神)] 신병(神病)에 약 쓰는 비결[神病用藥訣] 920
[소아(小兒)] 배가 아프고 불러 오르는 것[腹痛腹脹] 920
[가슴(胸)] 주심통(?心痛) 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