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夢)

잠을 자는 법[寢睡法]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1089 추천 수 0
◎ 寢睡法 ○ 臥宜側身屈膝益人心氣覺宜舒展則精神不散盖舒臥則招魔引魅孔子寢不尸盖謂是歟<活心>人?不得晝眠令人失氣又曰暮臥常習閉口口開卽失氣且邪惡從口入成病又曰屈膝側臥益氣力勝正偃仰按孔子不尸臥故曰睡不厭?覺不厭舒凡人尸睡則有鬼?魔邪又曰人臥一夜常作五度反覆逐更轉<得效>?夜不安寢衾厚熱壅故也.當急去之仍拭汗孔或薄而寒卽加之睡自穩也.飢而睡不安則宜少食飽而睡不安則宜?茶少行坐<東垣>?睡留燈燭令人神不安<活人心>?凡人常臥不宜仰臥以手覆心上則必?不得寤若暗中着?不得以火照之亦不得近前急呼但捻下心上手然後慢慢喚覺以?莢末或半夏末吹入鼻中卽醒<千金>

☞ 잠을 자는 법[寢睡法]

  ○ 잘 때에는 반드시 옆으로 누워서 무릎을 구부리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심기(心氣)를 도와준다. 깨어 나서는 몸을 펴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정신이 산만하지 않다. 몸을 펴고 누우면 헛것이 들린다.㈜ 공자가 죽은 사람처럼 하고 자지 말라고 한 것이 이것을 말한다[활인심]. ○ 낮에 자지 못하면 기운이 빠진다. 또한 저녁에 잘 때에는 늘 입을 다물고 자야한다. 입을 벌리고 자면 기운이 빠지고 사기(邪氣)가 입으로 들어가서 병이 생긴다. 무릎을 구부리고 옆으로 눕는 것이 기력을 보하는 데는 똑바로 눕는 것보다 낫다. 공자는 "죽은 사람같이 누워서 자지 말아야 한다. 잘 때에는 구부리는 것이 나쁘지 않고 깨어서는 펴는 것이 나쁘지 않다"고 하였다. 죽은 사람같이 하고 자면 나쁜 병이 생기게 된다. 또한 하룻밤 누워 자면서 다섯번 정도 돌아누워야 한다[득효]. ○ 밤에 잘 때 편안치 않은 것은 이불이 두터워서 열이 몰렸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빨리 이불을 걷고 땀을 볶은 다음 엷은 것을 덮어야 한다. 추울 때에는 더 덮어야 편안하게 잠들 수 있다. 배가 고파서 잠이 오지 않으면 조금 더 먹어야 한다. 배가 불러서 잠이 오지 않으면 반드시 차를 마시거나 조금 돌아다니다가 눕는 것이 좋다[동원]. ○ 잠을 잘 때에는 등불을 켜놓으면 정신이 불안해진다.[활인심]. ○ 누울 때에는 언제나 똑바로 눕는 것은 좋지 않다. 손을 가슴에 올려 놓으면 반드시 가위눌리어 잘 깨어나지 못한다. 어두운 곳에서 가위눌렸을 때에는 불을 켜지 말아야 하며 또한 앞에 가까이 가서 급히 부르지 말고 가슴 위에 올려 놓은 손을 내려 준 다음 천천히 불러서 깨우거나 주염나무열매(조협)가루나 반하가루를 콧구멍에 불어넣어 주어서 깨워야 한다[천금]. 

[註] 몸을 펴고 누우면 헛것이 들린다는 것은 공자가 "잠잘 때에 죽은 사람같이 누워서 자지 말아야 한다"고 한 말을 유교신자들이 맹목적으로 숭배하면서 그것을 합리화하기 위하여 한 미신적인 말이다. 
[註] 자다가 가위눌렸을 때 불을 켜지 말고 급히 부르지도 말라는 것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말이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나무[木部]] 자목(刺木, 산뽕나무) 80
[나무[木部]] 근죽엽(菫竹葉, 왕대잎) 담죽엽(淡竹葉) 고죽엽(苦竹葉, 오죽잎) 248
[나무[木部]] 죽력(竹瀝, 참대기름) 76
[나무[木部]] 죽실(竹實, 참대열매) 죽근(竹根, 참대뿌리) 죽여(竹茹, 참대속껍질) 죽황(竹黃) 172
[나무[木部]] 오수유(吳茱萸) 오수유엽(吳茱萸葉, 오수유나뭇잎) 식수유(食茱萸) 식수유수피(食茱萸樹皮, 식수유나무껍질) 282
[나무[木部]] 산수유(山茱萸) 241
[나무[木部]] 두충(杜仲) 99
[나무[木部]] 유핵(?核, 유인) 61
[나무[木部]] 정향(丁香) 100
[나무[木部]] 계설향(鷄舌香) 107
[나무[木部]] 침향(沈香) 121
[나무[木部]] 유향(乳香) 125
[나무[木部]] 백교향(白膠香) 81
[나무[木部]] 곽향(藿香) 71
[나무[木部]] 백단향(白檀香) 53
[나무[木部]] 자단향(紫檀香) 87
[나무[木部]] 강진향(降眞香) 161
[나무[木部]] 소합향(蘇合香) 112
[나무[木部]] 금앵자(金櫻子) 104
[나무[木部]] 빈랑(檳郞 ) 69
[나무[木部]] 대복피(大腹皮) 74
[나무[木部]] 치자(梔子, 산치자) 199
[나무[木部]] 용뇌향(龍腦香) 133
[나무[木部]] 장뇌(樟腦) 50
[나무[木部]] 무이(蕪荑, 참느릅나무열매) 42
[나무[木部]] 지실(枳實, 탱자열매) 지경피(枳莖皮, 탱자나무줄기의 껍질) 지근피(枳根皮, 탱자나무뿌리껍질) 206
[나무[木部]] 지각(枳殼) 54
[나무[木部]] 후박(厚朴) 54
[나무[木部]] 고다(苦茶, 작설차) 85
[나무[木部]] 진피(秦皮, 물푸레나무껍질)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