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夢)

약 쓰는 방법[用藥法]/꿈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842 추천 수 0
◎ 用藥法 ○ 虛而多夢紛?人參龍骨加而用之<本草>?膽虛不眠寒也.酸棗仁炒末竹葉煎湯調服膽實多睡熱也.酸棗仁生爲末以薑汁炒臘茶煎湯調服<海藏> ○ 一人因恐得病如人將捕睡臥不安飮食不知味以人參白朮當歸身爲君陳皮爲佐加鹽炒黃栢灸玄參各少許爲使煎服月餘而安此因恐傷腎故以鹽炒黃栢灸玄參引參歸等藥入腎也.<丹心>

☞ 약 쓰는 방법[用藥法]/꿈

  ○ 몸이 허하여 어지러운 꿈을 많이 꾸는 데는 인삼과 용골을 넣어 써야 한다[본초]. ○ 담(膽)이 허(虛)하여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한증(寒證)이다. 이런 데는 산조인(볶아 가루낸 것)를 죽엽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 담이 실하여 잠이 많은 것은 열증(熱證)이다. 이런 데는 산조인를 생것으로 가루내어 쓰는데 생강즙에 볶은 좋은 차를 달인 물에 타 먹는다[해장]. ○ 어떤 사람이 무서워하다가 병이 생겼는데 마치 누가 잡으러 오는 것 같고 잠자리가 편안치 않으며 음식맛을 몰랐다. 그리하여 인삼, 백출, 당귀를 주약[君藥]㈜으로 하고 진피를 좌약(佐藥)㈜으로 하며 소금물에 축여 볶은 황백과 구운 현삼 각각 조금씩을 사약(使藥)㈜으로 넣어 달여 먹었는데 1달 남짓하여 나았다. ○ 이것은 무서워한 것으로 하여 신(腎)이 상한 것이기 때문에 소금물에 축여 볶은 황백과 구운 현삼으로 인삼과 당귀 등의 약기운을 이끌어서 신(腎)으로 들어가게 하였다[단심]. 

[註] 주약[君藥] : 해당 처방에서 주작용을 나타내는 기본약으로써 주증 또는 주병을 치료한다. 
[註] 좌약(佐藥) : 주약을 협조하여 주증을 치료하는 보조약으로서 주약의 작용으로 해결할 수 없는 따라 난 병이나 겹친 병이나 부차적인 증상을 치료한다. 
[註] 사약(使藥) : 인경작용과 조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약으로써 처방에서 주약과 다른 약들의 독작용을 덜어주며 약맛을 좋게 하고 서로 다른 약성을 가진 약들의 작용을 조화시킨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꿈(夢)] 마음이 들떠서 잠을 자지 못하는 것[魂離不睡] 1209
[꿈(夢)] 지나치게 생각해서 잠을 자지 못하는 것[思結不睡] 997
[꿈(夢)] 늙인이와 젊은이가 잠을 자는 것이 다르다[老少之睡不同] 925
[꿈(夢)] 잠자는 것을 음양과 허실로 가른다는 것[睡辨陰陽虛實] 829
[꿈(夢)] 잠을 편안하게 자지 못하는 것[臥不安] 1051
[꿈(夢)] 몸이 무거우면 눕기를 좋아한다[身重嗜臥] 1362
[꿈(夢)] 사람을 싫어하고 혼자 있으려 하는 것[惡人欲獨處] 1005
[꿈(夢)] 잠을 자는 법[寢睡法] 1089
[꿈(夢)] 나쁜 꿈[惡夢]을 꾸지 않게 하는 방법[?惡夢] 4484
[꿈(夢)] 약 쓰는 방법[用藥法]/꿈 842
[꿈(夢)] 단방(單方)/꿈 730
[꿈(夢)] 침뜸치료[鍼灸法]/꿈 722
[목소리(聲音)] 목소리[聲音]는 신(腎)에서 나온다는 것[聲音出於腎] 978
[목소리(聲音)] 목소리를 듣고 병증을 갈라내는 것[聽聲音辨病證] 860
[목소리(聲音)] 갑자기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卒然無音] 1024
[목소리(聲音)] 잡병으로 목이 쉰 것[因雜病失音] 1433
[목소리(聲音)] 궐기(厥氣)로 벙어리[?]가 된 것[厥氣爲?] 733
[목소리(聲音)] 벙어리에는 두 가지가 있다[??有二] 672
[목소리(聲音)] 목 쉰 소리[聲嘶] 1222
[목소리(聲音)] 신겁증[腎怯]은 목 쉰 것[失音]과 비슷하다[腎怯與失音相似] 857
[목소리(聲音)] 숨쉴 때 소리가 나는 증상[息有音] 807
[목소리(聲音)] 치료를 못하는 증[不治證] 682
[목소리(聲音)] 상한호혹증에 벙어리가 되는 것[傷寒狐惑聲?] 711
[목소리(聲音)] 소아감리증에 벙어리가 되는 것[小兒疳痢聲?] 694
[목소리(聲音)] 목소리가 변한 데 두루 쓰는 약[通治聲音藥] 1003
[목소리(聲音)] 단방(單方)/목소리 782
[목소리(聲音)] 침뜸치료[鍼灸法]/목소리 658
[언어(言語)] 폐는 소리를 주관하여 말이 되게 한다[肺主聲爲言] 704
[언어(言語)] 말을 허투루 하는 것[言語?妄] 714
[언어(言語)] 벙어리가 되어 말을 하지 못하는 것[?不得語] 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