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聲音)

목소리를 듣고 병증을 갈라내는 것[聽聲音辨病證]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861 추천 수 0
◎ 聽聲音辨病證 ○ 內經曰視喘息聽音聲而知所苦又曰中盛藏滿氣勝傷恐者聲如從室中言是中氣之濕也. ○ 靈樞曰病人語聲寂寂然善驚呼者骨節間病語聲?暗然不徹者心膈間病語聲??然細而長者頭中病 ○ 又曰聞而知之謂之聖 ○ 難經曰聞而知之者聞其五音以別其病也.假如肝病則聲悲肺病則聲促心病則聲雄脾病則聲慢腎病則聲沈大腸病則聲長小腸病則聲短胃病則聲速膽病則聲淸膀胱病則聲微<回春> ○ 內經曰聲合五音入門曰金聲響土聲濁木聲長水聲淸火聲燥 ○ 土音如居深瓮中言又曰濕勝則音聲如從瓮中出濕若中水也.<東垣>

☞ 목소리를 듣고 병증을 갈라내는 것[聽聲音辨病證]

  ○ 『내경』에 "천식증(喘息證) 때 목소리를 듣고 고통스러워 하는 곳을 알 수 있다. 또한 중초(中焦)가 성(盛)하고 5장이 실해서 기운이 왕성하나 무서워한 탓으로 상하면 목소리가 방 안에서 나는 소리같이 된다. 이것은 중기(中氣)에 습이 생겼기 때문이다"고 씌어 있다. ○ 『영추』에 "목소리가 조용하고 잘 놀라면서 소리치는 것은 뼈마디에 병이 있는 것이다. 말을 똑똑하게 하지 못하고 얼버무리는 것은 심격간(心膈間)㈜에 병이 생겼기 때문이다. 말소리가 나직하고 가늘면서 길게 나오는 것은 머리 속에 병이 있는 것이다. 목소리를 듣고 병을 아는 사람이 유능한 의사이다"고 씌어 있다. ○ 『난경』에 "들어보고 병을 안다는 것은 5가지 소리를 듣고 병을 갈라낸다는 것이다. 가령 간(肝)의 병이면 목소리가 슬프게 나오고 폐(肺)의 병이면 목소리가 가쁘게 나오며 심(心)의 병이면 목소리가 궁글게[雄] 나오며 비(脾)의 병이면 목소리가 느리게 나오고 신(腎)의 병이면 목소리가 가라앉고 대장(大腸)의 병이면 목소리가 길게 나오며 소장(小腸)의 병이면 목소리가 짧게 나오고 위(胃)의 병이면 목소리가 빠르며 담(膽)의 병이면 목소리가 맑으며 방광(膀胱)의 병이면 목소리가 희미하다"고 씌어 있다[회춘]. ○ 『내경』에 "목소리는 5가지 소리가 합쳐져 나오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 『입문』에 "쇳소리는 쟁쟁하고 흙소리는 흐리며 나무소리는 길고 물소리는 맑으며 불소리는 조(燥)하다"고 씌어 있다. ○ 흙소리는 깊은 독 속에서 말하는 소리와 같다. 또한 습이 성하면 목소리가 독 속에서 울리는 소리 같으면서 물에 잦아드는 것같다[동원]. 

[註] 심격간(心膈間) : 심장과 가름막 사이를 말한다.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5수혈이 주관하는 병[五?主病] 356
[침구(針灸)] 4계절에 따라 5수혈에 침놓는 방법[五?鍼隨四時] 307
[침구(針灸)] 정합의 의의[井合有義] 283
[침구(針灸)] 12개의 원혈을 써서 5장6부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五臟六腑有疾當取十二原] 707
[침구(針灸)] 장부의 중요한 침혈[臟腑要穴] 396
[침구(針灸)] 6개의 합혈이 나드는 곳[六合所出所入] 466
[침구(針灸)] 족3초의 별맥[足三焦別脈] 378
[침구(針灸)] 8회혈(八會穴) 1028
[침구(針灸)] 6개 경맥의 표와 본[六經標本] 575
[침구(針灸)] 몸에 있는 4곳의 모여드는 것과 그에 해당한 수혈[人身四海?穴] 426
[침구(針灸)] 대접경(大接經) 519
[침구(針灸)] 병을 치료하는 데 주요한 혈[主病要穴] 562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는데 삼가할 것[禁鍼灸] 469
[침구(針灸)] 5장을 찌르면 죽는다[刺中五臟死候] 483
[침구(針灸)] 침을 잘못 놓으면 사람이 상한다는 데 대하여[失鍼致傷] 442
[침구(針灸)] 침을 놓지 못하는 혈[禁鍼穴] 489
[침구(針灸)] 뜸을 뜨지 못하는 혈[禁灸穴] 510
[침구(針灸)] 기혈(奇穴) 587
[침구(針灸)] 별혈(別穴, 경외기혈) 1006
[침구(針灸)] 여러 가지 약으로 뜸을 뜨는 방법[諸藥灸法] 488
[침구(針灸)] 계족침법(鷄足鍼法) 719
[침구(針灸)] 좋은 날을 택하여 침뜸을 놓는 방법[擇鍼灸吉日法] 466
[침구(針灸)] 태을이 중궁에 옮겨가는 날, 8풍으로 좋고 나쁜 것을 예견하는 법 765
[침구(針灸)]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데 대하여[身形應九野] 456
[침구(針灸)] 태을신이 8계절이 나도는 날수[太乙遊八節日數] 471
[풀(草部)] 회향(茴香) 426
[풀(草部)] 관동화(款冬花) 393
[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374
[풀(草部)] 백부근(白部根) 454
[침구(針灸)] 구궁고신도 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