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言語)

말을 허투루 하는 것[言語?妄]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714 추천 수 0
◎ 言語?妄 ○ 自言曰言答人曰語<得效> ○ 內經註曰?亂語也. ○ ?者妄也.或自言平生常事或開目言人所未見事或獨語或睡中??或呻吟不已甚則狂言罵?俱謂之?語皆因胃熱乘心故也.(詳見寒門) ○ 問曰邪入陽明爲?言妄語此果陽明乎答曰傷寒始自皮毛入是從肺中來肺主聲入于心則爲言也.又曰合目自言言所日用常見常行之事卽?語也.大開目與人語語所未嘗見之事卽爲狂言也.<東垣> ○ ?語者口出無倫邪氣勝也.<回春> ○ 衣被不斂言語善惡不避親疎者此神明之亂也.乃狂疾也.<內經> ○ 悲泣呻吟言語?妄此乃邪?也.<綱目>

☞ 말을 허투루 하는 것[言語?妄]  

○ 자기가 하는 말을 언(言)이라고 하고 다른 사람의 물음에 대답하는 말을 어(語)라고 한다[득효]. ○ 『내경』 주해에 "헛소리는 말을 허투로 하는 것이다"고 하였다. ○ 헛소리란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을 말한다. 혹은 자기 혼자 평상시 하던 일을 말하거나 눈을 뜨고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한 사실을 말하거나 혼자 말을 하거나 잠꼬대를 하거나 신음소리를 계속 내거나 심하게는 미친소리를 하고 욕설을 퍼붓는 것은 다 헛소리라고 한다. 이런 증산은 다 위(胃)의 열(熱)이 심(心)을 억눌러서 생긴 것이다(자세한 것은 상한문(傷寒門)에 있다). ○ 사기(邪氣)가 양명(陽明)에 들어가면 헛소리나 허튼 말을 하게 된다고 하는데 이것은 과연 양명 때문인가고 하는 물음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상한병(傷寒病) 초기에는 피모(皮毛)에 사기가 들어왔다가 폐로 들어간다. 폐는 소리를 주관하는데 그 소리를 심이 받아서 말이 되게 한다고 하였다. 또한 눈을 감고 자기 혼자소리로 늘 보고 듣고 하던 일을 말하는 것이 바로 헛소리이고 눈을 크게 뜨고 사람과 말하듯 아직 보지 못한 일을 말하는 것은 미친소리라고 하였다[동원]. ○ 헛소리라는 것은 순서없는 말을 하는 것인데 이것은 사기(邪氣)가 성[勝]하기 때문이다[회춘]. ○ 옷을 거두지 못하며 친하거나 낯선 사람을 갈라보지 못하고 쓸소리, 못쓸소리를 막 하는 것은 정신이 착란되었기 때문인데 이것이 바로 미친 병이다[내경]. ○ 슬프게 울기도 하고 신음소리도 내며 말을 허투루 하는 것이 바로 헛것에 들린 것이다[강목].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침구(針灸)] 5수혈이 주관하는 병[五?主病] 356
[침구(針灸)] 4계절에 따라 5수혈에 침놓는 방법[五?鍼隨四時] 307
[침구(針灸)] 정합의 의의[井合有義] 283
[침구(針灸)] 12개의 원혈을 써서 5장6부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五臟六腑有疾當取十二原] 707
[침구(針灸)] 장부의 중요한 침혈[臟腑要穴] 396
[침구(針灸)] 6개의 합혈이 나드는 곳[六合所出所入] 466
[침구(針灸)] 족3초의 별맥[足三焦別脈] 378
[침구(針灸)] 8회혈(八會穴) 1028
[침구(針灸)] 6개 경맥의 표와 본[六經標本] 575
[침구(針灸)] 몸에 있는 4곳의 모여드는 것과 그에 해당한 수혈[人身四海?穴] 426
[침구(針灸)] 대접경(大接經) 519
[침구(針灸)] 병을 치료하는 데 주요한 혈[主病要穴] 562
[침구(針灸)] 침과 뜸을 놓는데 삼가할 것[禁鍼灸] 468
[침구(針灸)] 5장을 찌르면 죽는다[刺中五臟死候] 481
[침구(針灸)] 침을 잘못 놓으면 사람이 상한다는 데 대하여[失鍼致傷] 442
[침구(針灸)] 침을 놓지 못하는 혈[禁鍼穴] 489
[침구(針灸)] 뜸을 뜨지 못하는 혈[禁灸穴] 510
[침구(針灸)] 기혈(奇穴) 587
[침구(針灸)] 별혈(別穴, 경외기혈) 1006
[침구(針灸)] 여러 가지 약으로 뜸을 뜨는 방법[諸藥灸法] 488
[침구(針灸)] 계족침법(鷄足鍼法) 718
[침구(針灸)] 좋은 날을 택하여 침뜸을 놓는 방법[擇鍼灸吉日法] 466
[침구(針灸)] 태을이 중궁에 옮겨가는 날, 8풍으로 좋고 나쁜 것을 예견하는 법 765
[침구(針灸)] 몸이 9야에 상응한다는 데 대하여[身形應九野] 456
[침구(針灸)] 태을신이 8계절이 나도는 날수[太乙遊八節日數] 471
[풀(草部)] 회향(茴香) 423
[풀(草部)] 관동화(款冬花) 391
[풀(草部)] 홍남화(紅藍花, 잇꽃) 홍남묘(紅藍苗, 잇꽃싹) 홍남자(紅藍子, 잇꽃씨) 374
[풀(草部)] 백부근(白部根) 454
[침구(針灸)] 구궁고신도 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