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言語)

말소리가 약한 것[言微]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900 추천 수 0
◎ 言微 ○ 內經曰言而微終日乃復言者奪氣也. ○ 靈樞曰?中爲氣之海不足則少氣力不多言 ○ 易老曰眞氣虛弱脈微懶語宜人參黃?湯及益氣丸(方?見氣門)

☞ 말소리가 약한 것[言微]

  ○ 『내경』에 "말소리가 하루종일 약하다가 다시 제대로 말하게 되는 것은 기가 빠졌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 『영추』에 "단중(?中)은 기가 모이는 곳인데 이것이 약하면 기력이 부족해져서 말을 많이 하지 못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 ○ 역로(易老)는 "진기가 허약하면 맥이 미(微)하고 말하기가 싫은데 이런 데는 인삼황기탕과 익기환(益氣丸, 처방은 다 기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옹저 때 설사 하는 것[癰疽泄瀉] by 한닥터
  2. 동의보감 옹저로 아픈 것[癰疽作痛] by 한닥터
  3. 동의보감 옹저 때 번갈이 나는 것[癰疽煩渴] by 한닥터 *2
  4. 동의보감 맥병에 쓰는 약[脈病藥餌] by 한닥터
  5. 동의보감 소기(少氣) by 한닥터
  6. 동의보감 처방집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 by 한닥터
  7. 동의보감 처방집 인삼황기탕(人蔘黃 湯) by 한닥터
  8. 동의보감 처방집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 by 한닥터
  9. 동의보감 처방집 익기환(益氣丸)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신형(身形)] 병들지 않게 하며 건강하고 오래 살게 하는 약[養性延年藥餌] 2106
[정(精)] 유정은 심에 속한다[遺泄精屬心] 1271
[정(精)] 정을 보하는 약[補精藥餌] 2070
[기(氣)] 소기(少氣) 1754
[기(氣)] 약 쓰는 법[用藥法] 1744
[신(神)] 전광(癲狂) 2150
[신(神)] 신병에 두루 쓰는 약[神病通治藥餌] 1960
[혈(血)] 7정은 혈을 동하게 한다[七情動血] 938
[혈(血)] 축혈증(蓄血證) 1400
[혈(血)] 코피[?血] 1427
[혈(血)] 구혈(嘔血)과 토혈(吐血) 2318
[혈(血)] 해혈(咳血), 수혈(嗽血), 타혈(唾血), 각혈(?血) 1 1770
[혈(血)] 피오줌[尿血] 1487
[혈(血)] 피똥[便血] 1916
[혈(血)]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齒?] 1392
[혈(血)] 혈한(血汗)/혈 973
[혈(血)] 피가 나오는 데 약을 쓰는 방법[治血藥法] 1178
[혈(血)] 혈병(血病)에 두루 쓰는 약[通治血病藥餌] 1417
[목소리(聲音)] 신겁증[腎怯]은 목 쉰 것[失音]과 비슷하다[腎怯與失音相似] 857
[언어(言語)] 말소리가 약한 것[言微] 900
[언어(言語)] 치료법[治法] 815
[진액(津液)] 저절로 나는 땀[自汗] 2290
[진액(津液)] 식은땀[盜汗] 1810
[진액(津液)] 어린이 식은땀[童子盜汗] 1155
[진액(津液)] 두루 쓰는 약[通治藥] 1165
[담음(痰飮)] 열담(熱痰) 2224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3
[비장(脾臟)] 비병을 치료하는 방법[脾病治法] 1903
[신장(腎臟)] 신병을 치료하는 방법[腎病治法] 2220
[포(胞)] 피가 엉켜서 가가 된 것[血結成?] 1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