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言語)

하품[欠]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741 추천 수 0
◎ 欠 ○ 內經曰腎爲欠 ○ 難經曰腎病面黑善恐數欠 ○ 黃帝問曰人之欠者何氣使然岐伯對曰衛氣晝行于陽夜行于陰陰者主夜夜則臥陽者主上陰者主下故陰氣積于下陽氣未盡陽引而上陰引而下陰陽相引故數欠又曰足陽明之脈病善伸數欠<靈樞> ○ ?之始作也.善伸數欠又曰二陽(胃也.)一陰(心包)發病善噫善欠註云氣鬱於胃故欠生焉<內經> ○ 氣乏故欠伸引之<入門>

☞ 하품[欠]

  ○ 『내경』에는 "하품은 신에서 나온다"고 씌어 있다. 『난경』에 "신에 병이 생기면 얼굴빛이 거멓게 되고 잘 무서워하며 자주 하품한다"고 씌어 있다. ○ 황제가 "무슨 기운이 하품을 하게 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위기(衛氣)가 낮에는 양으로 돌고 밤에는 음으로 도는데 음은 밤을 주관하기 때문에 밤이 되면 누워자게 된다. 양은 주로 올라가고 음은 주로 내려가는데 음기가 아래에 몰리면 양기가 미쳐 올라가지 못한다. 그러면 양은 끌어올리려고 하고 음은 끌어내리려고 한다. 이와 같이 음양이 서로 끌어당기게 되면 자주 하품을 하게 된다. 또한 족양명(足陽明)의 경맥에 병이 생기면 기지개를 잘하면서 자주 하품을 한다"고 씌어 있다[영추]. ○ 학질(?疾)의 초기에는 기지개를 잘하고 자주 하품을 한다. 또한 2양(二陽, 위경이다), 1음(一陰, 심포경이다)에 병이 생기면 트림이 잘 나고 하품도 잘 난다. 주해에 "기가 위에 몰리면 하품이 난다"고 씌어 있다[내경]. ○ 기가 부족하면 하품을 하거나 기지개를 한다[입문].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풀(草部)] 수료(手蓼, 물여뀌) 수료자(水蓼子, 물여뀌씨) 106
[풀(草部)] 훤초근(萱草根, 원추리뿌리) 129
[풀(草部)] 야자고(野茨菰) 77
[풀(草部)] 패천공(敗天公) 76
[풀(草部)] 초두구(草豆寇) 103
[풀(草部)] 초과(草果) 71
[풀(草部)] 호장근(虎杖根, 범싱아뿌리) 118
[풀(草部)] 초오(草烏, 바꽃) 125
[풀(草部)] 불이초(佛耳草, 떡쑥) 85
[풀(草部)] 경실(?實, 어저뀌씨) 68
[풀(草部)] 봉선화(鳳仙花) 82
[풀(草部)] 해아다(孩兒茶) 139
[나무[木部]] 계피(桂皮) 계심(桂心) 육계(肉桂) 계지(桂枝) 유계(柳桂) 666
[나무[木部]] 송지(松脂, 송진) 송실(松實, 솔방울) 송엽(松葉, 솔잎) 송절(松節, 소나무마디) 송화(松花, 솔꽃) 송근백피(松根白皮, 소나무뿌리속껍질) 송제(松 , 솔기름) 548
[나무[木部]] 괴실(槐實, 홰나무열매) 괴지(槐枝, 홰나무가지) 괴백피(槐白皮, 홰나무속껍질) 괴화(槐花, 홰나무꽃) 236
[나무[木部]] 구기자(枸杞子) 지골피(地骨皮) 373
[나무[木部]] 백실(栢實, 측백씨) 백엽(栢葉, 측백잎) 백백피(栢白皮, 측백나무속껍질) 193
[나무[木部]] 복령(茯苓, 솔풍령) 복신(茯神) 195
[나무[木部]] 호박(琥珀) 153
[나무[木部]] 유피(楡皮, 느릅나무껍질) 157
[나무[木部]] 산조인(酸棗仁, 메대추씨) 112
[나무[木部]] 황벽(黃蘗, 황백) 황벽근(黃蘗根, 황경피나무뿌리) 444
[나무[木部]] 저실(楮實, 닥나무열매) 저엽(楮葉, 닥나무잎) 저수피(楮樹皮, 닥나무껍질) 저지(楮紙, 닥나무로 만든 종이) 254
[나무[木部]] 건칠(乾漆, 마른옻) 생칠(生漆, 생옻) 458
[나무[木部]] 오가피(五加皮, 오갈피) 195
[나무[木部]] 만형실(蔓荊實, 순비기나무열매) 92
[나무[木部]] 신이(辛夷) 114
[나무[木部]] 상상기생(桑上寄生, 뽕나무겨우살이) 150
[나무[木部]] 상근백피(桑根白皮, 뽕나무뿌리껍질) 상엽(桑葉, 뽕잎) 상지(桑枝, 뽕나무가지) 상심(桑? , 오디) 상화(桑花, 뽕나무이끼) 상시회림즙(桑柴灰淋汁, 뽕나무잿물) 245
[나무[木部]] 상두충(桑?蟲, 뽕나무좀벌레)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