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言語)

재채기[?]

한닥터 2011.07.16 조회 수 793 추천 수 0
◎ ? ○ 黃帝曰人之?者何氣使然岐伯曰太陽之氣(一云陽氣)和利而滿於心出於鼻故爲?<靈樞> ○ 難經曰肺外證面白善? ○ ?者鼻中因痒而氣噴作于聲也.鼻爲肺竅痒爲火化是火乘金爲病也.<河間> ○ ?理不密噴?不已<綱目> ○ 欠爲氣乏?爲氣通<綱目>

☞ 재채기[?]

  ○ 황제가 "무슨 기운이 재채기를 하게 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태양경의 기운이(양기라고 한다) 고르게 잘 돌아 심에 가득 차서 코로 나오게 되면 재채기가 난다"고 하였다[영추]. ○ 『난경』에는 "폐의 병 때에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얼굴빛이 허옇고 재채기를 잘하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 재채기라는 것은 콧속이 가려운 탓으로 기가 빠지면서 나는 소리이다. 코는 폐(肺)의 구멍이며 가려움은 화의 작용이므로 이것은 화(火)가 금(金)을 이겼기 때문에 생긴 병이다[하간]. ○ 주리(?理)가 치밀하지 못하면 재채기가 멎지 않고 계속 난다[강목]. ○ 하품하는 것은 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며 재채기를 하는 것은 기가 통하는 것이다[강목]. 

관련된 글
  1. 동의보감 재채기[鼻?] by 한닥터
  2. 보험 정보 소청룡탕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3. 보험 정보 삼소음 - 건강보험 적응증 by 한닥터

0개의 댓글

제목 조회 수
[화(火)] 화에는 군화와 상화의 2가지가 있다[火有君相之二] 1449
[한(寒)] 상한의 반표반리증[傷寒半表半裏證] 1450
[적취(積聚)] 식울(食鬱) 1452
[담음(痰飮)] 울담(鬱痰) 1453
[신(神)] 탈영증과 실정증[脫營失精證] 1456
[기침(咳嗽)] 밤에 나는 기침[夜嗽] 1456
[제창(諸瘡)] 음식창(陰蝕瘡) 1457
[제창(諸瘡)] 개선(疥癬, 옴과 버짐) 1460
[물고기(魚部)] 이어담(鯉魚膽, 잉어쓸개) 1460
[내상(內傷)] 식상에 보하는 약[食傷補益之劑] 1464
[포(胞)] 대하를 치료하는 방법[帶下治法] 1466
[과실(果部)] 매실(梅實, 매화열매) 오매(烏梅) 백매(白梅) 매엽(梅葉, 매화나무잎) 1469
[화(火)] 골증열(骨蒸熱) 1471
[신형(身形)] 늙으면 자식을 낳지 못한다[年老無子] 1475
[신형(身形)] 양성금기[養性禁忌] 1478
[머리(頭)] 담궐두통(痰厥頭痛) 1478
[허리(腰)] 어혈로 허리가 아픈 것[瘀血腰痛] 1479
[방광부(膀胱腑)] 방광의 위치[膀胱部位] 1480
[적취(積聚)] 6울이 적취, 징가, 현벽의 원인이다[六鬱爲積聚?癖之本] 1 1482
[혈(血)] 피오줌[尿血] 1487
[입과 혀(口舌)]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口臭] 1488
[담음(痰飮)] 식담(食痰) 1493
[정(精)] 몽설(夢泄)은 심(心)에 속한다[夢泄屬心] 1496
[허리(腰)] 접질려서 허리가 아픈 것[挫閃腰痛] 2 1503
[간장(肝臟)] 간병의 증상[肝病證] 1504
[젖(乳)] 유옹(乳癰) 1509
[소아(小兒)] 만경풍(慢驚風) 1509
[풍(風)] 역절풍의 치료법[歷節風治法] 1510
[부인(婦人)] 태루와 태동[胎漏胎動] 1513
[대변(大便)] 손설(飱泄) 1515